?시조창은 왜 끝을 생략할까요?
?시조창은 왜 끝을 생략할까요?
우리음악에의 작은 관심이 어쩌다가 시조창을 듣는 중에
남구만의 <동창이 밝았느냐>와 정몽주의 <단심가>에서 종장의 끝자락의
서너자가 노래되지 않고 버려짐을 이상하게 여겨 오다, 이 후로도 여러 차례
같은 의문에 부닥치게 되어 내가 인터넷과 이런 저런 사람에게 알아본 내용
을 실어 함께 토론하며 그 정확한 답을 알아내고 싶습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한 글에서 "시조의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나누
어지는데 종장의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등은 생략하여 부르지 않고, 장단
은 삼점오박 장단과 오점팔박 장단이 교차되어 연주된다." 한 대목에서 확인
되었다시피, 나의 질문은 정당하지만 그 생략에 대한 이유와 설명은 이런데나
저런 사람에게서 듣지 못하고 막연히 전통적 관행으로 생략하여 왔으며 그것
에는 아마도 어떤 美學的 이유ㅡ절제생략의 미, 상상의 미 또는 여백의 미ㅡ
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성 답변을 들을 수 밖에는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음악은 정악과 민속악으로 분류되는데
정악은 궁중음악과 제례악인 아악과 (가곡, 가사, 시조등) 풍류악으로
나뉘며 이 음악은 궁중이나 지식 계급층에서 주로 연주되는 음악이며
민속악은 농악, 시나위, 무악, 산조, 민요, 잡가, 판소리 등으로 평민이나
천민사회에서 불려졌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음악으로서의 향악이란 말은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
에서 기원된 이후 향가, 향비파라는 용어처럼 외래 것에 대한 한국 것
또는 우리 것의 뜻이 향악이란 용어 속에 뚜렷이 함축되어 있어 우리나라
의 전통적인 음악문화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반면에 중국의 당송(唐宋)으로부터 이입된 외래음악으로서의 唐樂은
주로 궁중의 제례와 의식에 관련된 음악인 아악(雅樂)을 가리켰습니다.
이중의 시조창은 3행 형식의 시조시로서 전통 성악곡의 하나로
우리 조상들의 양반 사회에 널리 퍼졌던 곡으로 시절단가, 시절가, 시조
창으로 불려져 왔습니다. 이 시조창의 발원은 고려시대 말부터 시작되었
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최고 문헌은 석북 신광수(1712~1775년)의 "석북집" '관서악부'로 조선조
영조때의 가객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최초의 악보는 서유구(1764~1845년)의 "임원 경제지" "유예지"와 이규경
(1788~?)의 " 철 자보"가 있습니다. 이를 보면 시조창은 조선시대 후기에
비로소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평시조처럼 황종, 중려, 임종의 3음부로 이루
어졌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경로로 시조가 음악으로 널리 퍼졌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시조의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나누어지는데 종장의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등은 생략하여 부르지 않고, 장단은 삼점오박 장단과 오점
팔박 장단이 교차되어 연주됩니다.
시조창은 시조시의 아름다움을 창법에 따라 마음껏 표현할 수가 있어서
옛 선비들이 즐겨 부르던 대중음악이라 할 수 있으며,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귀중한 문화재입니다.
追而
근래에 반주를 동반한 정가(正歌)가 있음을 알았습니다.
보통 시조창이 3장으로 나누어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가는 시조 3장을 세밀히 5장으로 나누고 늘려서 부른다고 하는데
연주에 얼마나 오래 걸리고 느려질지 지레 질립니다.
서양음악은 심장박동이나 맥박에 맞추는 음악이고
우리의 국악은 호흡간을 기준으로 하기에 길어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우리음악에의 작은 관심이 어쩌다가 시조창을 듣는 중에
남구만의 <동창이 밝았느냐>와 정몽주의 <단심가>에서 종장의 끝자락의
서너자가 노래되지 않고 버려짐을 이상하게 여겨 오다, 이 후로도 여러 차례
같은 의문에 부닥치게 되어 내가 인터넷과 이런 저런 사람에게 알아본 내용
을 실어 함께 토론하며 그 정확한 답을 알아내고 싶습니다.
인터넷에서 검색한 글에서 "시조의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나누
어지는데 종장의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등은 생략하여 부르지 않고, 장단
은 삼점오박 장단과 오점팔박 장단이 교차되어 연주된다." 한 대목에서 확인
되었다시피, 나의 질문은 정당하지만 그 생략에 대한 이유와 설명은 이런데나
저런 사람에게서 듣지 못하고 막연히 전통적 관행으로 생략하여 왔으며 그것
에는 아마도 어떤 美學的 이유ㅡ절제생략의 미, 상상의 미 또는 여백의 미ㅡ
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성 답변을 들을 수 밖에는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음악은 정악과 민속악으로 분류되는데
정악은 궁중음악과 제례악인 아악과 (가곡, 가사, 시조등) 풍류악으로
나뉘며 이 음악은 궁중이나 지식 계급층에서 주로 연주되는 음악이며
민속악은 농악, 시나위, 무악, 산조, 민요, 잡가, 판소리 등으로 평민이나
천민사회에서 불려졌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전통음악으로서의 향악이란 말은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
에서 기원된 이후 향가, 향비파라는 용어처럼 외래 것에 대한 한국 것
또는 우리 것의 뜻이 향악이란 용어 속에 뚜렷이 함축되어 있어 우리나라
의 전통적인 음악문화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반면에 중국의 당송(唐宋)으로부터 이입된 외래음악으로서의 唐樂은
주로 궁중의 제례와 의식에 관련된 음악인 아악(雅樂)을 가리켰습니다.
이중의 시조창은 3행 형식의 시조시로서 전통 성악곡의 하나로
우리 조상들의 양반 사회에 널리 퍼졌던 곡으로 시절단가, 시절가, 시조
창으로 불려져 왔습니다. 이 시조창의 발원은 고려시대 말부터 시작되었
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최고 문헌은 석북 신광수(1712~1775년)의 "석북집" '관서악부'로 조선조
영조때의 가객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최초의 악보는 서유구(1764~1845년)의 "임원 경제지" "유예지"와 이규경
(1788~?)의 " 철 자보"가 있습니다. 이를 보면 시조창은 조선시대 후기에
비로소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평시조처럼 황종, 중려, 임종의 3음부로 이루
어졌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경로로 시조가 음악으로 널리 퍼졌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시조의 형식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나누어지는데 종장의 끝음절인
'하노라' '하느니' 등은 생략하여 부르지 않고, 장단은 삼점오박 장단과 오점
팔박 장단이 교차되어 연주됩니다.
시조창은 시조시의 아름다움을 창법에 따라 마음껏 표현할 수가 있어서
옛 선비들이 즐겨 부르던 대중음악이라 할 수 있으며,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귀중한 문화재입니다.
追而
근래에 반주를 동반한 정가(正歌)가 있음을 알았습니다.
보통 시조창이 3장으로 나누어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가는 시조 3장을 세밀히 5장으로 나누고 늘려서 부른다고 하는데
연주에 얼마나 오래 걸리고 느려질지 지레 질립니다.
서양음악은 심장박동이나 맥박에 맞추는 음악이고
우리의 국악은 호흡간을 기준으로 하기에 길어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