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연주.감상후기, 등업요청, 질문, 제안, 유머, 창작 노랫말, 공연초대와 일상적 이야기 등 주제와 형식,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회원문단은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

가곡(歌曲)이란? -김경선 원장님께 -

별헤아림 17 1485
김경선 원장 선생님 안녕하세요?
짧게 댓글 달다가 또 길어졌네요....ㅎ.ㅎ.ㅎ

가곡(歌曲)이란?

첫 번째 시조(時調)를 가사로 부르는 우리 전통 성악곡으로서의 가곡(歌曲)이 있고, 두 번째로 1920년대 이후 서양 예술가곡의 양식(이탈리아 가곡, 독일 가곡 등)을 빌려와 발전시킨 새로운 노래양식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첫 번째 우리 전통 성악곡으로서의 가곡(歌曲)은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조선 중엽에 발생하여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국민 문학적(양반과 서민, 남녀노소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향유됨) 장르인 시조(時調)로 부른 우리 전통의 성악곡입니다.
원래 시조(時調)는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준말로서 '시절가(時節歌)' 혹은 '단가(短歌)'라고 불린 점으로 보아 '유행가', 혹은 긴 ‘장가(長歌)에 비해 짧은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현대 시조로 내려 와서는 4음보의 음악적인 악곡의 의미보다는 정형시의 내용면을 중요시함으로 악곡보다는 오히려 문학적인 장르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수업을 할 때"야들아, 시조는 원래는 노래다. 너그들 TV에서 가끔 '국악의 향기'니 하는 프로에서 장구 소리에 맞추어 한복 입고 나와서 황진이 시조 '청~~산~~리~~ ~~벽~~~계~~수~~야~~~'라고 질질 빼면서 부르는 노래 들어 봤재~?" 하기도 합니다.)

김천택의 〈청구영언(靑丘永言)〉과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박효관·안민영 <가곡원류(歌曲源流) > 송계연월옹(松桂烟月翁)의 <고금가곡(古今歌曲)> 등을 시조집 혹은 가곡집이라고 합니다. 엮은이는 주로 노래하는 가객(歌客)들입니다.

이들 가곡집에는 수록된 시조를 가곡(歌曲) 몇 수, 시조(時調) 몇 수로 음악적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시조(가사)로 노래를 하되, 시조(時調)는 3장으로 노래하며 음악적 표현은 노래하는 사람과 장고 그리고 한 종류의 악기를 더하여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가곡(歌曲)은 3장의 시조를 빠뜨리지 않고 늘여서 5장으로 악기도 거문고·가야금·세피리·대금·해금·장구로 편성되는 관현악 반주에 맞춰 노래한다고 합니다.
즉, 시조시를 선율에 얹어 관현악 반주에 맞춰 부르는 예술음악으로 음계는 5음계 혹은 3-4음계이며, 판소리·범패와 더불어 한국 3대 성악곡의 하나입니다.

*** 아마 원장님이 만나신 분은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인 위의  가곡(歌曲) 보유자의 홈을 찾으신 듯합니다.***

아울러 두 번째의  가곡(歌曲)은 '내 마음의 노래' 김경선 원장님이나 저 그리고 우리 동호인들이 좋아하는 <선구자>, <가고파>, <그리운 금강산>, <내 맘의 강물>, <그리움>, <별> 그리고 <황홀한 그리움> 등등입니다. 이를 다른 이름으로 ‘예술가곡’이라고도 합니다.
 이 '예술가곡'은 1920년대 이후 서양 예술가곡의 양식을 빌려와 발전시킨 새로운 노래양식이지요. 위의 우리 전통 성악곡인 가곡과는 동음이의어(同音異意語)의 셈입니다. 단지 같은 성악곡이란 점에서 혼동이 생기므로 조순자님께서 설명을 붙인 듯합니다.
 
이 ‘예술가곡’은 독일 가곡에 대해서는 '리트', 이탈리아 가곡은 '칸초네', 프랑스 가곡은 '샹송' 등으로 불리어지며, 아마 독일의 괴테의 시에 노랫말을 붙이면서 시작된 ‘리트’(서정가곡)에서 출발되었다는 얘기를 언젠가 음악선생님께 들은 듯도 합니다만  시간이 날 때,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국문학사적으로 제가 아는 바로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서양문물과 함께 선교사들에 의해 서양의 민요·찬송가가 도입되어 만들어진 창가(최남선의 ‘경부철도가’, 이필균의 ‘애국하는 노래’ 등)라는 계몽적 내용의 성악곡으로 출발하여 처음에는 주로 교가, 찬송가, 군가로 불리어졌습니다.

 그러다 1920년대 한국 최초의 가곡이라고 불리는 <봉선화>를 기점으로 가곡이라는 새로운 양식으로 나누어진 셈입니다. 창가에서 나온 여러 형태의 장르는 크게 3가지인데, 가곡·창작동요(전래동요와 구별됨)·대중가요입니다. 근대 창작성악곡의 범주로 묶을 수 있는 이 장르들은 독립된 장르로 발전되긴 했지만 공통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그것은 외래음악 양식의 도입과 관련하여 전통성악곡인 가곡(歌曲)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이나 민요·잡가 등과 양식적인 면에서 구별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민중의 생활 속에서 만들어지고 보급되는 민요·잡가 등이 가진 구비문학적인 유동성·역동성에 반하여 가곡(歌曲)은 작곡자에 의해 창작되고 악보화 됨으로써 유형화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근대 한국가곡의 성격이 그렇습니다.

음악계에서는 김성태의 <산유화>나 윤이상의 <고풍의상 古風衣裳>은 서양 음악적 어법을 극복하고 독자적인 창작방법을 구사한 수준 높은 가곡(歌曲)으로서 한국 가곡의 독창성을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한국적 정취를 담은 가곡(歌曲)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답습하는 단계에 머물지 않는, 작시자나 작곡가의 창의적인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2006. 8. 25.>
17 Comments
김경선 2006.08.25 10:52  
  별샘얘,
고맙심더!
매일 매일 어지러버얘, 갈수록 모름만 쌀이고...
별헤아림 2006.08.25 11:04  
  저는 정신 시끄러버서 음악 켜 놓고 자 뿌립니더. ...^^*
장미숙 2006.08.25 11:19  
  어지럽고..정신 시끄러워도^^ 
한번씩 읽어보는 일만으로도 무언가 숙제를 마친 기분이 들면서
머릿 속에 몇 소절이라도 남겨지길 바라는 공부를 하게 하시니
별..님께 감사해요~
수패인 2006.08.25 11:34  
  궁금증이 많이 풀렸습니다.올해는 더위가 9월중순까지 간다는군요.
문제는 우리나라 기후가 아열대로 바뀌어가고 있다니 매년 이럴것 같다는...
더욱더 건강관리 잘하십시요.
바다 2006.08.25 12:01  
  별님!
 고맙습니다.
 많은 분들이 읽고 고개를 끄덕이리라 믿습니다.
산처녀 2006.08.25 12:14  
  그저 듣는것으로 만족 하는 제게는 입이 벌어질 정도의
전문적인 글입니다 .고개를 끄떡이며 많이 공부 합니다.
별헤아림 2006.08.26 05:51  
  장미숙님.
수패인님.
바다님.
산처녀님.

아침에 일찍 깨어나니서늘한 날씨가 가을을 연상케 합니다.
낮이 되면 또 후덥지근하겠지요.

미리 와서 '어떻게들 지내나?' 염탐하려 온 것 같기도 한 가을을 기다리며
님들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
송인자 2006.08.26 08:59  
  하이고 ~ 별선생님 ! 친절도 하셔라.^^
긴 글 쓰시느라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별헤아림 2006.08.26 11:50  
  ㅎ.ㅎ.
승질모리 안 좋다고 욕 하는 사람도 있는데 고마버요.
서너 문장 쓰고 나면 긴 글인지 짧은 글인지 분간도 못 하고 수다를 떨지요. 입 수다보다 글 수다가 사실 더 피곤한 법이지요...ㅎ.ㅎ.ㅎ.
wisjoy 2006.08.26 14:31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날마다 즐거운 날 되세요. 별헤아림 처럼 입수다 글 수다 좀 있었으면.........저의 큰 바램입니다*.*
세라피나 2006.08.26 22:20  
  선생님!~

'가곡학 개론' 강의 잘  들었습니다.^^
따뜻한 밥상 차리시느라^^  동분서주 수고가많으셔요.^^

선생님의 *수다의 곳간*^^
점~점~  더~  *흥미진진*^^

"야들아,
'청산~~산~~리~~~~벽~~~계~~수~~야~~~"
(호호호~~~^^  후후후~~~^^ 못말리시는^^ *헤아림*선생님^^*)
 
에버그린 2006.08.26 23:35  
  별~님!
"가곡학 개론" ....강의에 저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저도 글 수다좀 있었으면..... 건강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송월당 2006.08.27 00:53  
  별헤아림님 전문적인 내용의 글 잘 읽고 무식이 좀 면하게 되었어요.
오늘 현대 시조 100년 기념 신작 가곡 음악회에서 다시 만나 뵈어 정말 정겨웠어요. 감사 드려요.
별헤아림 2006.08.28 05:04  
  wisjoy님.
세레피나님.
에버그린님.
송월당님.

김경선 박사님의 질문에 너무 나서는 듯하여 쬐끔 마음에 걸렸었는데,
님들의 말씀에 마음이 홀가분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뭉게구름 2006.08.29 19:15  
  가곡의 원류에 대하여 세밀하게 분석해 주시고
한국가곡에 관한 국문학사적 고찰을 간략하게 해 주신 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아울러 한국가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신 것도 좋았습니다.
 
별헤아림 2006.08.31 16:48  
  김형규 교수님.
성의가 부족한 글을 관심있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규방아씨(민수욱) 2006.09.02 19:32  
  읽어내려가자니 머리가 복잡해지네요
뭐가 뭔지도 전혀 모르겠구요
그냥 가곡만 좋아할랍니다...ㅎㅎㅎ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