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연주.감상후기, 등업요청, 질문, 제안, 유머, 창작 노랫말, 공연초대와 일상적 이야기 등 주제와 형식,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회원문단은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

말 못하는 짐승 소가 남긴 사리

이종균 9 1801
말 못하는 짐승 소가 남긴 사리
                            (작성산. 동산)
  “제천 북쪽은 평창과 가깝고, 동쪽은 영월과 경계가 맞닿았다. 만첩산중에 있는 깊은 산골이므로 참으로 난리를 피하고 속세를 피할만 하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그려진 제천의 모습이다.
  대대로 이어 사는 사대부가 많다는 제천은 아름다운 경승도, 이름 난 명산도 많은 곳이다.
  작성산(鵲城山:771m)은 옛날 까치성산의 한자표기 이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청풍군 불우조에는 무암사(霧巖寺)는 백야산(白夜山)에 있다고 했는데 기타 사찰자료 등에는 금수산(錦繡山) 무암사라 했으며, 시청 홈 페이지에는 제천 10경중의 하나인 금수산이 원래는 백운산(백과사전 등에는 백암산)인데 퇴계 이황(李滉)선생이 산이 비단에 수놓은 것처럼 아름답다하여 금수산으로 바꿨다 했다.
  또 청풍부읍지(淸風府邑誌) 산천 조에는 금수산은 일명 무암(霧巖)으로 약초가 많은 명산이다고 한 기록 등을 요량해본다면 백야산, 백운산, 백암산 무암산 모두 금수산의 옛 이름이며, 크게는 이 거대한 산줄기에 솟아있는 작성산, 까치산, 동산 그 외 모든 봉우리들을 총망라하여 금수산이라 하지 않았는가 싶기도 하다.
  우리는 55번 고속국도 결매령에서 오르기 시작했다.
  입춘이 지나서 그런지 영하4도의 깜짝 추위라는데도 무성한 송림사이로 스며든 햇살이 잔설위에 속삭이는 봄의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이 산은 높다기보다 가파르며, 크다기보다 기복이 심한 암릉이 매혹적인 산이다. 그래서 적설기나 결해빙기에 인적이 드물며 그만큼 주의를 기우려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급한 비탈을 낚아채 듯 올라서니 「작성산 771m 충청북도 제천시」란 표지석이 서있고, 여기서 남쪽 지척에 「까치산(鵲城山) 848m 금성면지역발전추진위원회」란 표지석이 서있다. 그러니까 이 산에 관한 여러 자료나, 이 산에 올라본 사람마다 산 이름과 높이에 대하여 논란이 많았던 게 바로 이것 때문이었구나 하는 해답이 절로 머리를 스친다.
  771봉은 분명 작성산(鵲城山)이니 까치성산이요, 848봉은 까치산이니 한자 표기를 鵲山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어쨌든 이 산의 최고봉은 848미터의 까치산이고, 주봉은 지형도에 표시된 대로 작성산이 아니랴.
  이 까치산에 전해지는 전설이 있다. 옛날 이 산기슭에 왕궁이 있었다는데 임금이 신하들에게 저 봉우리에 까치가 앉거든 쏴 죽이라고 명했다. 어느 날 까치가 날아와 화살에 맞아 죽었는데 그게 일본 왕이었다는 이야기이다.
  언제인지는 알 수 없어도 일왕이 우리나라에 와서 죽었다는 근거는 없다. 그러나 일본이 얼마나 역겹고 얄미웠으면 이런 전설이 나왔을까.
  모두들 여기서 간식을 먹으며 휴식을 취하는데 나는 혼자서 걸었다.
  805봉, 785봉을 지나는 암능은 동편이 깎아 세운 듯한 절벽을 이루어 눈길에 발 한 번 잘못 디디면 마지막 가는 길이 아닐까 은근히 겁이 난다.
  새목재는 안부라기보다 심연 같은 깊은 골짜기다. 내려가기도 힘들었지만 여기서 동산(東山:896m)으로 오르는 길 또한 숨 막히는 가파름이다.
  부침(浮沈)이 있는 것, 인생길도 다 그런 것이거늘···
  동산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더 없이 시원스럽다. 새목재에서 서쪽 충주호반 성내리 주차장에 이르는 깊고 긴 계곡을 사이에 두고 북녘에 작성산줄기가 휘감아 섰고, 남녘으론 10여좌의 암봉들이 줄을 이은 동산줄기가 에워싸 그야말로 난리를 피하고 속세를 피할 곳이 바로 옌듯하다.
  멀리 남쪽으로 충주호 너머 바라다 보이는 산군이 월악산국립공원이련만 뽀얀 이내에 가려 그 형체를 분간하기 어렵고, 남동으로 지도상의 직선거리 7킬로 지점에 우뚝 솟은 봉우리는 금수산(錦繡山:1,016m)이 틀림없다.
  오늘 나는 무암사와 소부도 탑을 꼭 봐야한다. 그래서 계획된 등산로를 탈출하여 계곡 길로 들었다.
  「무암사지 부도」란 현판이 번쩍 눈에 띈다. 문화유적(0511-12-0130)인  이는 조선시대의 화강암 부도로 주인 없는 황소가 일을 하다가 죽어 화장을 하니 사리가 나와 여기에 봉안했단다.
  그렇다면 신라고승 의상대사가 무암사를 창건할 때 힘든 일을 거들고 죽은 황소를 화장하니 사리가 나와 그 불심에 감동하여 사리탑을 세웠다던 시청 자료와의 시대적 차이를 어떻게 좁힌단 말이냐.
  긴 세월 비바람에 닳고 닳아 비문의 흔적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한 탑 몸을 만져보고 들여다봐도 확인할 길이 없다.
  이 부도 뒷산에 소뿔바위가 있다기에 경사 50도는 됨직한 산비탈을 기어올랐다. 아스라이 멀게만 느껴지는 이 공간에 소 머리빡에 난 두 뿔 같은 바위가 하늘로 솟아있다. 예님은 어떻게 이 바위를 알고 이 아래 소 부도를 세웠을까.
  여기서 200미터쯤 떨어진 무암사, 출입문 옆에 암굴이 있어 ‘석굴 안 불당’이라 하던데 그 속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물맛이 그리도 감미롭다. 먼 산길에 목이 말라서일까 한 사발을 꿀꺽꿀꺽 들이마셨다.
  절 뜰에서 바라다 보이는 맞은편 산릉에 암군이 특이하여 한 처사에게 물었더니 안개가 끼면 잘 보이고 안개가 걷히면 잘 안 보이는 무암(霧巖)이라고 일러주며, 저 쪽에 있는 게 양근바위인데 멀지않으니 한번 가보라고 자랑하듯 권유한다. 나는 오늘 말 못하는 짐승인 소의 사리탑을 보았는데 더 볼 게 뭐 있겠냐고 했더니 그는 입을 다물었다.
  일생 소 한 마리쯤 위장 속에 장사지낸 난들 죽어 화장하면 사리 한 두과 안 나올까나···.
  이산 곳곳에 자리 잡은 낙타바위, 장군바위, 배바위 등등은 모두 기암괴석들로 딴 곳에서 볼 수 없는 희귀한 볼거리들이다. 그러나 그저 생김새에 따라 이름을 지어 붙였을 뿐 아무런 전설도 사연도 역사도 의미도 없는 것들, 이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건 내 성미인지도 모른다.
  등반종점인 성내리(城內里), 두말할 나위 없이 성안이란 뜻이다. 돌과 흙을 버물어 쌓은 1,100미터에 달하는 이 까치산성에서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토기조각과 기와 등이 발견 되어 그 역사를 가늠케 하고 있다.
  주차장 길가에 “마을 자랑 비”란 초라한 돌비석 하나가 서있다.
  길 건너 낮은 개울가 큰 느티나무 곁에 어쩌면 날려는 봉의 모습인 집채만 한 큰 바위가 있어 봉비암(鳳飛巖)이라 했다는데, 여기에 한 노파가 움막을 치고 정성껏 제사를 지내다가 어느 날 홀연히 사라지자 밤마다 바위가 울어 그 뒤로 주민들은 봉명암(鳳鳴巖)이라 부르며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 매년 정월이면 고사를 지낸다고 한다.
  나는 그 바위를 살피러 내려갔다가 발밑에 뒹구는 돌 하나, 갸름하게 둥근 꼭 오리 알만한 흰 돌, 그걸 주워 보물인양 조심스럽게 주머니 속에 넣었다.
마치 봉의 알이라도 되는 듯이.
9 Comments
김형준 2007.02.20 08:49  
  아, 황소에서도 사리가 나올 수 있군요.
무암사와 소부도 탑을 찾으시기 위해
일행과 헤어지는 선생님의 모습이 보입니다.
남들과 늘 함께 하다 보면 외로움은 적지만
보다 넓고 깊은 배움을 얻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그 가파른 산등성이들을 넘나들며
배움을 얻으시고, 또 가르침을 주시는
선생님의 곱고 깊은 심성에 감사를 드립니다.
선생님의 글이 아니었으면
제가 평생 한 번 까치성산에 대한
이야기를 듣거나 그 산자락 구경을 할 수 있겠습니다.

소에서 꼭 사리가 나오고 안 나오고의 문제보다는
좋은 목적을 위해 몸 사리지 않고 수고하는
모든 만물들에 사리 또는 그와 비슷한 믿음과 사랑의 표시가
늘 만들어진다고 느껴집니다.
오늘도 덕분에 마음 속의 등산을 잘 하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형준 2007.02.20 11:27  
  남들이 볼 수 없는 그것을 보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주 멋 있었습니다.

말씀드린대로 실천을 했습니다.
무언가가 갑자기 무척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다음에 만나 뵈면 말씀 드릴게요.
노을 2007.02.20 16:42  
  보내주신 산행수필집의 연작인 듯 싶습니다.
아마 새로 책이 나온다면 저희들이 먼저 읽은 영광을 누리겠군요.
그저 산행기려니 하고 읽다가도 문득 만나지는 서정적인 묘사와
산이 주는 삶의 깨우침을 따라가는 묘미가 참 좋아요.
혹, 꿈에도 산엘 가시나요?   

sarah* 2007.02.20 17:36  
..화폭에 그리듯이 산행의 노정을 점점이 그려주시고
사진으로 덧붙여 산행중의 백미를 보여주시니...
더불어 동행한듯 선연한 경관이 그려지는군요
게다가 글 중에서 배울 수있는 역사적 고찰과 인문지리적 지식들로
지적 만족감까지 얻을 수있으니 선생님께 감사드릴 밖에요...
산처녀 2007.02.20 21:11  
  아니가도 가본듯
세세히 설명을 부쳐서 써 내리시는 산행기 ,
그저 존경스러울 뿐입니다.
산을 바라만 보아도 오금이 저리는 저는
그저 읽는데도 숨이 찹니다.
선생님 새해에도 더욱 강건하십시요.
김형준 2007.02.22 01:55  
  내 마음의 노래 서울, 경기 2월 가곡 모임은
2월26(월)입니다.
저는 이날 다른 모임에 가야 할 일이 생겨서
가곡 모임에는 참석을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혹시 가시게 되면 즐거운 시간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선생님 목소리는 가곡을 부르시기에
매우 좋은 소리입니다.
좋은 가곡들을 많이 부르시길 소망합니다.
산에 가셔서 아름다운 우리 가곡을
사랑의 마음으로, 기쁨의 마음으로 부르시면
산들이 수 백년, 수 천년 동안
간직하면서 봉우리에서 봉우리로
메아리로, 또는 바람을 타고 서로
불러주면서 자신들의 명상의 삶 속에서
기쁨을 나누게 되리라 믿습니다.
이경종(유랑인) 2007.02.22 03:07  
  범상히 보지 않는 한걸음 한걸음이 존경스럽습니다. 좋은 글과 심상을 감사히 느끼며 봅니다~ 고맙습니다.
이종균 2007.02.22 10:41  
  김형준 박사님

청량사 앞뜰의 세뿔소 무덤은
세갈래 소나무를 키워내
수목장의 효시를 이루었습니다.

우총(牛塚)
                 
육육봉 기슭
청량사 유리보전 앞뜰에
노송 한 그루 서있다

켜켜이 쌓인 보굿
누비장삼인양 몸에 두르고
설한풍에 수행하는 도승처럼.

원효대사 터 잡아
가람 세울 때 부리던
세뿔소

모진 역사(役事) 못 이겨
핏발선 두 눈 감아 
고통의 굴레 벗은 열반(涅槃)

그 넋,
못 다한 고행 있어
소나무로 환생(幻生)했나
스치는 솔바람 차갑기도 하다.
이종균 2007.02.22 10:53  
  사라 선생님, 산처녀 선생님, 이경종 선생님!

과찬에 감사드립니다.
세월이 흐르다보니 반세기 이상을 산에 젖어 살아
이제 떼어내지 못하는 생활이 되었을 뿐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