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연주.감상후기, 등업요청, 질문, 제안, 유머, 창작 노랫말, 공연초대와 일상적 이야기 등 주제와 형식,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회원문단은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줄탁동시 (茁啄同時 ---> 口卒,啄同時)

정문종 3 899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선종()의 공안 가운데 하나.

원래 중국의 민간에서 쓰던 말인데, 임제종()의 공안집(:화두집)이자 선종()의 대표적인 불서()인 송()나라 때의 《벽암록()》에 공안으로 등장하면서 불가()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공안은 화두라고도 하는데, 깨우침을 위한 물음의 요체이자 수수께끼로, 책으로 말하면 제목과 같은 것이다. 선을 수행하는 승려들은 하나의 공안만 가지고도 평생을 참구하기도 한다. 그만큼 몇 자 안 되는 공안일지라도 그 속에는 깨달음의 이치가 숨어 있어 그 뜻을 말로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반면 공안의 원래 뜻이 공공기관의 문서라는 점에서 보면, 일단 깨닫기만 하면 더하거나 뺄 것이 없이 그 뜻이 명백해지는 것이 공안이다. 그러나 깨달음을 말로 표현하기 위해 문자의 뜻에 얽매이는 순간 깨달음은 순식간에 날아가 버리고, 다시 관념에 빠진다. 선종에서는 이러한 관념의 세계를 용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안은 최소한의 언어만을 사용한다.

줄탁동기 역시 깨우침과 관련된 공안이다. 병아리가 알 속에서 나오려면 먼저 스스로 알을 깨기 위해 부리로 알을 쪼아야 한다. 그러면 알을 품던 어미닭이 소리를 알아듣고 동시에 밖에서 알을 쪼아 안팎에서 서로 쪼아댄다. 여기서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수행자이고, 어미닭은 수행자에게 깨우침의 방법을 일러주는 스승이다.

새끼와 어미가 동시에 알을 쪼지만, 그렇다고 어미가 새끼를 나오게 하는 것은 아니다. 어미는 다만 알을 깨고 나오는 데 작은 도움만 줄 뿐, 결국 알을 깨고 나오는 것은 새끼 자신이다. 이 말은 스승은 깨우침의 계기만 제시할 뿐이고, 나머지는 제자가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한다는 말이다. 깨달음에도 때가 있어 깨달아야 할 때 깨닫지 못하면 헛일이라는 뜻도 들어 있다.

H.헤세의 《데미안》에 나오는 "병아리는 알을 깨고 나온다"도 이와 같은 뜻이다. 줄탁지기·줄탁동시라고도 하고, 줄탁으로 줄여 쓰기도 한다.
3 Comments
정문종 2007.05.22 12:32  
  권혁민 님의 코멘트에서 귀한 말씀을 발견하여 그 뜻을 되새겨 봅니다,,,
정우동 2007.05.22 15:01  
  줄탁동시는 口+卒 啄同時라고 쓰는 것이 옳습니다.
병아리가 껍질 안에서 쪼는 소리를 "줄" 이라하고
어미닭이 밖에서 껍질을 쪼는 소리를 "탁"으로 표현한답니다.
교육목표이든 기업의 경영성과이든 무슨 일이든지
자발적인 동인이 있고 주변적인 요인까지 무르익어야 
성사가 되는 것이 기연설의 機와 緣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정문종 2007.05.22 19:04  
  덕분에 심하게 어려운 한자말 '줄'(口卒)을 익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