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연주.감상후기, 등업요청, 질문, 제안, 유머, 창작 노랫말, 공연초대와 일상적 이야기 등 주제와 형식,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회원문단은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

‘봉쇄 수도원’ 장혜경 수녀 25년 만의 ‘외출’ 이유는?

정문종 1 1387
## 김경선 원장님이 마산에 사시니 좀 신경 써 주세요^^*
경남 마산 구산면 수정리에 있는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수녀원’의 수녀 이야기 랍니다,,,
마산 지역사회에서는 영향력이 크신 분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인간적인 측면에서, 경제논리에 밀려 예술이 사장되는 것을 막듯이, 막아 주실것을 믿습니다^^
그리고,,, 6월 14일 진해 김달진 생가마당엔 좀 늦더라도 갈 수 있도록 스케쥴을 미리 잡아 두겠습니다^^* 여러가지로 미리 감사 드립니다,,,

‘봉쇄 수도원’ 장혜경 수녀 25년 만의 ‘외출’ 이유는
“삶의 터전 쫓겨날 이웃 외면할 수 없다”
평화로운 자연부락에 공해유발 공장 추진
“내 살 길만 찾는게 수도자인가” 단식 호소
한겨레 bullet03.gifcho@hani.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조연현 기자btn_giljin.gif
04998343_20080325.JPG
»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수녀원’ 원장 장혜경(50) 수녀
“삶의 모든 기회를 포기하고 선택한 삶입니다. 어찌 그런 삶을 벗어나고 싶었겠습니까.”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수녀원’ 원장 장혜경(50) 수녀가 지난 18일 서울시 중구 정동 ‘한국천주교여자수도회 장상연합회’에서 ‘바깥 세상’을 향해 하소연했다. 경남 마산 구산면 수정리에 있는 ‘수정의 성모 트라피스트수녀원’은 봉쇄 수도원이다. ‘봉쇄 수도원’이란 한번 들어가면 긴급한 치료가 요구되는 병이 발생하는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밖으로 나올 수 없는 곳이다. 평생 기도와 노동, 독서만으로 하느님을 만나는 것 외엔 모든 것을 포기한 은둔 수도자 27명이 사는 곳이다. 세계적인 영성가 토머스 머튼이 속했던 곳이기도 한 트라피스트수도회는 가톨릭 수도회 가운데서도 청빈·순명·금욕 등에 가장 충실한 곳으로 유명하며, 국내엔 1987년 설립된 마산의 이 수녀원이 유일하다.

스스로 ‘봉쇄’를 자처한 그가 봉쇄를 뚫고 세상 밖으로 나온 것이다. 왜일까? 해안가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동산에 있던 수녀원의 높은 담장 안으로 지난해 10월 굉음이 들려왔다. 걸음소리조차 내지 않을 만큼 고요한 수녀원에만 머물던 장 수녀는 “마치 지진이 난 것처럼 흔들릴 정도였다”고 했다. 알고 보니, 애초 택지 조성을 위해 매립했던 지역에 조선 기자재 공장 설립을 추진하던 조선업체가 가사용 승인을 받아 선박 블록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는 소음이었다. 수녀원뿐 아니라 신라시대 때부터 조성된 380가구의 자연부락이 있는데다 택지로 예정됐던 지역에 어떻게 기업과 마산시가 이런 식으로 공장 설립을 추진할 수 있는지 그는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세상은 봉쇄 구역 안의 수녀가 이미 이해할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지역 경제를 살리자’는 경제 논리 앞에서 그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생명이나 인권은 뒷전이었다.

회사 쪽에선 수녀원을 이전시켜주겠다고 했다. 그러나 장 수녀는 “아무리 봉쇄구역 안에서만 살아왔지만, 홍합을 채취하는 등 이곳에서 생계를 꾸려가다가 뿔뿔이 쫓겨 갈 이웃 주민들을 두고 우리만 살 길을 찾아 나선다면 그게 수도자의 모습이겠느냐”고 말했다.

그래서 장 수녀는 1984년 트라피스트수녀회에 입회한 이래 25년 만에 ‘세상으로 외출’을 단행했다. 지난달 29일부터 9일 동안 마산시청 앞에서 단식으로 호소도 했다.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트라피스트수도회 베르나르도 올리베라 총장 신부에게 특별히 외출허가를 받아 한 외출이었다. 급성 후두염에 걸린 채 빼빼 말라가는 그의 손을 잡고 “제발 단식을 풀라”며 눈물 짓는 수정리 마을 주민들의 걱정에 단식을 풀긴 했지만, 그는 “경제 논리만을 앞세운 기업과 행정관청과 언론에 의해 사면초가인 주민들의 곁을 떠날 수 없다”고 했다.

장 수녀는 갓 태어난 아이처럼 초롱초롱한 눈으로 세상에 말하고 있었다. 약자가 설 곳이 없는 ‘세상’ 속에서 ‘봉쇄’당한 주민들을 떠날 수 없어 수녀원을 나섰다고.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cho@hani.co.kr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1 Comments
열무꽃 2008.04.14 07:43  
멀리 울산에서 저항운동에 동참하시는 정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눈앞에 보이는 순간적인 이득만을 우선으로 하는 공공기관과 일부로 인하여
외출을 하지 않으면서 수녀원 안에서 기도생활을 하시는
트라피스트 수녀원의 장수녀님의 외침을 실어 주셨군요.
내마노의 아지트 소담수목원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오고가고 있는데
지역을 모두 조선소화 해야만 잘 살 수 있으리라는 짦은 생각들이
너와 나를 찢어놓고 있습니다. 보상해줄테니 수녀원도 이사가라는 것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