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연주.감상후기, 등업요청, 질문, 제안, 유머, 창작 노랫말, 공연초대와 일상적 이야기 등 주제와 형식, 성격에 관계없이 쓸 수 있습니다.
단,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는 금지하며 무단 게재할 경우 동의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기존의 회원문단은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작시자의 필연적인 (미상)에 대한 생각

김수경 1 972
김순애 선생님의 작곡 <봄바람> 은
작시자가 <미상>으로 되어있는데..
미상이라 함은 여러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겠으나 가장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상황은 누군가 작품을 남겼으나 작자의 표기가
누락된 채 작품만 존재할 때 이에 곡을 붙일경우이겠는데...

좌우간 위 곡의 노래말과  비슷한 시를  소월시에서 읽은 것 같아
한 번  찾아 보았습니다.

우선 김순애 선생님의 곡은..              소월시  <바람과 봄>은..

(봄에 부는 바람) 산들바람              (봄에 부는 바람) 바람부는 봄
00 같이 부는 바람 산들바람            작은가지 흔들리는 (부는 봄바람)
(봄이라  바람이라 이내몸에는)        (내 가슴흔들리는)바람, 부는 봄
(꽃이라 바람이라)설레이는데          (봄이라 바람이라 이 내 몸에는)
(내마음 흔들리는) 봄바람                (꽃이라 술잔이라)하며 우노라
(부는 봄바람)

노랫말과 소월시에서 보듯이  많은 부분이 똑같거나 아주 비슷하거나
단어의 위치만  달리 배치한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김순애님 곡 <봄바람>의 작시자(엄격히는 표절자)는
분명 존재하였음에도 필연적으로 미상일 수 밖에 없는
운명이었을 것이다...라고 추측해 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경우와 같은 작시자 미상인 작품이 계속 생겨난다면?
예술가곡에도 커다란 구멍이 생겨나고 원작자가 입는 피해와 함께
가곡발전에 작은 문제가 아닐 수 없는 정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일
것입니다.

물론 위 곡은 노래말에 맞게 선율이 살아있는 잘 만든 곡일지라도...
우리의 정서가 잘 표현되고 또 우리의 정서를 더욱 아름답게
순화시켜주는 사랑하는 우리가곡의 발전을 위하여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니 작시자미상이라는 께름직한  노래들은 태어나지
않아야 진정한 우리가곡의 발전을 꾀할 수 있을것입니다.

민요가사말고야 작시자미상표기가 그리 흔한일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찾아본 소월시에서  너무나  놀란 가슴으로 한편
가곡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 말씀드렸습니다.
1 Comments
자 연 2006.11.16 17:57  
  志조는 아는사람 알고 외고 水景 은

청풍 타 오고가니 횐 도포  입은 선비

단장 끝 소리쇠리 울어 놀다가라 하더라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