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자료실 > 신요칼럼
신요칼럼
 

청라언덕은 어디에

鄭宇東 1 2669
청라언덕은 어디에

노산 이은상선생의 시 '思友'(동무 생각) 를
박태준 선생이 작곡한 노랫말 속의 '청라언덕' 의 무대가
도대체 어디냐, 대구냐, 마산이냐로 하여 논란을 벌인 적이 있었습니다.
‘동무생각’은 박태준선생이 마산 창신학교 음악교사 시절 그의 못이룬
러브스토리에서 만든 곡으로, 동료 교사였던 이은상선생이 가사를 붙여
널리 불려지는 ㅡ 음악교과서에서 빠진적이 없는 국민가곡입니다.


대구 중구에 있는 東山병원을 뒤로 돌아가면 담쟁이로 뒤덮인 고색창연한
서양식 붉은 벽돌집들이 나옵니다. 스위츠, 챔니스, 블레어 등의 이름을 가
진 선교사 주택들입니다. 여기가 바로 130여 년 전 벽안(碧眼)의 선교사들
이 계성학교, 신명학교, 제중원과 같은 학교와 병원을 지어 선교 활동을 하
던 요람입니다. 그 아래에는 선교사들의 무덤인 ‘은혜정원’이 있습니다. 사
람들은 이 일대의 언덕을 담쟁이의 이름을 따서 ‘청라(靑蘿)언덕’이라 불렀
습니다.

언덕 아래로 내려가면 ‘3-1만세운동길’이 나오고 곧장 ‘90계단’으로 이어집
니다. 길이 끝나면 신명학교, 계산성당, 상화고택, 제일교회가 줄줄이 나옵
니다. 이 언저리가 당시 대구의 근대예술가들에게 중요한 예술적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일찍이 시인 이상화. 이장희, 소설가 현진건, 화가 이인성,
작곡가 박태준. 현제명 등이 바로 여기서 예술의 혼을 불살랐습니다. 가
히 1900년대 대구의 ‘몽마르트르’ 언덕이라 부를 만한 곳입니다.

대구중구문화원에서 2009년 6월 이곳 청라언덕에다 ‘동무생각’ 노래비를
세웠습니다. 계성학교 시절 박태준은 신명학교에 다니던 여학생 유인경을
사모하였으나 짝사랑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그 애틋한 첫 사랑의 이야기
를 들은 노산이 즉석에서 가사를 써 주었다는 그 곡이 바로 ‘사우’(思友),
즉 ‘동무생각’ 입니다. 이 내용을 스토리텔링化하여 박태준의 러브 스토리
가 오페라로 만들어져서 2012년 제1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에서 개막작
품으로 공연된 창작오페라 '청라언덕’이 바로 그것입니다.
최현묵이 대본을 쓰고, 김성재가 작곡을 했습니다.

사우는 춘하추동의 4(계)절의 가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사우'의 1절은 대구측의 주장대로 그렇다 치고
2절 3절을 보면 무대가 노산 선생의 고향 마산을 드러내는 “더운 백사장
에 밀려 드는 저녁 조수 위에" 와 같은 바다가 등장하는 등 생각할 여지가
넓어지고 있어 대구만 고집할 수 없는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따라
서 노산 선생을 사랑하는 마산 사람들은 그 무대가 마산이 아닌 딴 지역
즉, 대구라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입니다.

마산으로서는 작사자인 노산 시인의 태생지와 연관 지어 볼 때 그의 號
노산(鷺山)의 무대인 노비산(鷺飛山)의 작은 동산 언덕이 틀림없이 청라
(靑蘿)언덕의 무대라고 주장합니다. 노산이 살던 마산의 고향마을 뒷산
이 노비산(제비산)입니다. 봄이면 쑥이 지천으로 그 산을 덮습니다. 파란
쑥이 피어있는 그 산과 언덕을 노산은 ‘청라언덕’이라 했고, 그 언덕을 그
리워하며 노랫말에 붙였다는 것입니다.

여기에도 근거가 있습니다.
푸를 靑은 같지만, 담쟁이넝쿨 蘿가 아니라 쑥 蘿라는 것입니다.
문제는 ‘蘿’인데, 옥편을 보면 그 첫 뜻은 쑥으로 나옵니다. 담쟁이넝쿨은
일곱번째 뜻으로 나옵니다. 그러니 쑥 蘿가 설득력이 있습니다. 마산에는
바다가 있고 백사장이 있으며 쑥이 지천으로 자라는 제비산 자락에
청라언덕이라는 지명까지 실존하고 있어 청라언덕의 실체는 마산임이 확
연한 것이라고 마산의 문화인사들은 주장합니다. (2013.4.5. 마산 대우
백화점에서 열린 "대구 청라언덕사업의 진실규명을 위한 학술포럼"에서)
그래서 딴 곳에서 그 지명을 쓰면 꼭 도용당한 것 같아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늘날의 지방자치제 시대에서는
지방주민들이 그 지방과 관련된 역사상의 인물이든 전설을 막론하고
노랫말이든 문학작품이든 해당하는 지역에서 특별히 의미를 부여하여 명
승지든 뭐든 돋보이는 공간으로 꾸미려 나선다면 자유롭게 허용하는 게
좋은 일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것은 문화콘텐츠에 먼저 눈뜬 대구 사람
들이 노산 선생의 노랫말 하나에도 깊은 의미를 부여하여 저리도 명승지
로 꾸미고 오페라까지 만들어 공연하고 있다는데 점에 있어 무엇을 더 말
하랴 ! 싶어집니다.

이런 노래에 이런 논란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사실을 밝히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노래를 만든 분들이 이 세상에 없는
지금, 그게 쾌도난마처럼 가려질 수 있을까하는 생각입니다. 그곳이 대구면
어떻고, 마산이면 어떤가. 아니면 전국의 모든 나지막한 언덕을 ‘청라언덕’
이라고 하면 어떤가. 그곳이 어디든 나름대로 독자적인 스토리텔링으로 멋
지게 가꿔 그 노래를 더욱 더 살려나가는 게 더 좋을 듯싶습니다.


가곡 동무생각(思友)의 가사

                  이은상 작사, 박태준 작곡
1.                                   
봄의 교향악이 울려퍼지는
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나는 흰 나리꽃 향내 맡으며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청라언덕과 같은 내 맘에
백합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피어날 적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2.
더운 백사장에 밀려들오는
저녁 조수 위에 흰 새 뛸 적에
나는 멀리 산천 바라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저녁 조수와 같은 내맘에
흰 새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떠돌 때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3.
서리 바람 부는 낙엽 동산 속
꽃진 연당에서 금새 뛸 적에
나는 깊이 물 속 굽어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꽃진 연당과 같은 내 맘에
금새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뛰놀 때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4.
소리 없이 오는 눈발 사이로
밤의 장안에서 가등 빛날 때
나는 높이 성궁 바라보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밤의 장안과 같은 내 맘에
가등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빛날 때에는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 Comments
鄭宇東 2014.03.23 22:10  
대구 청라언덕 기념사업은
한국음악문헌학회의 아이디어를 얻어 2008년에 대구시가 승인한
사업입니다. 이 학회의 최영애 회원이 "대구 청라언덕설"을 최초
로 지상에 발표하여 대구지방민들의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이 한.음.문.학회는 2008년 손태룡 현회장과
부산의 김창욱(음악사), 대전의 문옥배, 대구의 이혁우(종교음악),
최영애(서양음악사)등과 만든 학회로 대구를 중심으로 향토와 관
련한 음악학을 연구하는 단체입니다. 현재 회원은 28명입니다.
이들은 대구지역에 최초로 합창단을 조직한 박태원과 그의 동생
박태준, 현제명과 김문배 등에 대한 각종 자료와 사진을 발굴해
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