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자료실 > 신요칼럼
신요칼럼
 

아리랑요 小考

鄭宇東 0 1772
아리랑요 小考 

 
ㅡ 아리랑의 어원
우리 한국음악의 상징적인 대표음악으로 일컬어지는 아리랑의 연원은
여러가지 이견이 분분하여 지금까지 정설이 없는 실정입니다.
  (1) 啞而聾 => 아이롱說
우리민요 시집살이謠에는 벙어리 삼년에 귀머거리 삼년이란 대목이 나
옵니다. 시집가서 잘 살려면 삼년동안은 할 말이 있어도 벙어리가 되고,
흉보는 소리는 아예 못 듣는 귀머거리가 되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2)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說
인생의 한살이가 아리도록 아프고 쓰리도록 쓰라리다는 경기아리랑의
노랫말에서 아리랑의 그 어원을 찾으려는, 내가 지지하는 설명입니다.
  (3) 아리령(嶺)說
오르고 넘기에 힘든 고비를 넘어 고개마루에 이르면 앞길은 편안하고
순탄한 곳  이상향적인 곳에 다닫게 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4) 아랑아씨說
남부지방의 밀양 영남루에는 사또의 딸 아랑낭자가 이방에게 욕을 당
하고 버려진 채 원귀가 되었다가 다른 사또가 신원해 준 전설이 내려
오고 있습니다.
  (5) 아리람 쓰리람신說
인도의 신화에서 천하만사을 주관하는 이 신에게 만사형통을 빈다는
설입니다.
  (6) 이 밖에도
 我耳聾설, 我難離설, 알이랑 얼이랑說, 웅녀 알영여신說 등이 있습니다.

ㅡ 아리랑 노래의 분포
전라도 ㅡ 진도아리랑
강원도 ㅡ 정선아리랑 뗏목아리랑 강원아리랑
경상도 ㅡ 밀양아리랑 울릉도아리랑
경기도 ㅡ 서울아리랑 본조아리랑 경기아리랑
제주도 ㅡ 오돌또기
황해도 ㅡ 해주아리랑
해외교포 ㅡ 독립군아리랑, 연변아리랑
특수목적 ㅡ 종두아리랑, 한글아리랑
기 - 타 ㅡ 본조아리랑, 변형아리랑(신아리랑, 별조아리랑)

ㅡ 아리랑의 특성
(1) 문학적 전개
    박승희의 연극 아리랑고개,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 조정래의 소설
    아리랑, 춘천 극단 혼성의 연극 정선아리랑
(2) 음악적 전개
    김진희의 뮤지컬 아리랑 아리랑, 유현종의 창극 아리랑
(3) 삶의 현장에서의 전개
    우리 일상생활속에 존재하는 부적 엽서 담배 우표 달력 상품 여관
    음식점 다방 과자등에 등장하는 아리랑 소리와 문자와 각종 전시
    회와 행사에서 아리랑공연 등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습
    니다.

ㅡ 아리랑의 의의
우리 아리랑은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그 종류와 가지수가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아리랑은 우리 한국의 통시대적이고 통공간적인
민족공통의 노래입니다.
아리랑은 한국적 정서의 원형질이고 공통분모입니다. 각기 다른 많
은 아리랑은 선률과 가사가 조금씩 다르지만 실은 두개의 기본정서
가 구조적으로 배합돼 있는 데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 하나가 떠나가거나 떠나보내고 싶지 않지만, 떠나보내야 하고
떠나 있을 수밖에 없는 데서 빚어지는 이탈애수(離脫哀愁)입니다.
아리랑에는 이런 이탈애수가 고단위로 농축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이와 쌍벽을 이루는 또 하나의 다른 정서구조는 저항애수(抵抗哀
愁)입니다. 곤고하게 주어진 여건에 저항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정
서적 노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날 버리고 떠나는 임이라면 떠나지 못하게 기둥에 꽁꽁 묶어 두든지,
굳이 떠나가겠다면 <배비장전>에서의 애랑이처럼 벌거 벗겨 발길로
차버렸어야했건만 천성이 모질지 못하여 정면저항은 못하고 굴절시
켜 자학저항으로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나 나버려라고 합니다.
그리고 아리랑에서 넘어간다는 고개는 떠나가는 자와 떠나보내고 싶
지 않은 자가 단절되는 한계입니다. 가마 타고 시집간 누나가, 징용에
끌려간 남편이, 상여에 실려 영영이별하는 부모가 한번 고개를 넘으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 그 고개는 우리 한국인의 정서에 있어서 가장 큰
단절의 체험입니다.
 
ㅡ 아리랑의 미래
이제까지의 아리랑이 대부분
한과 애수와 좌절을 노래하였다면 앞으로의 아리랑은 이를 극복하고
희망과 환희를 초래하는 진취의 기상을 담아야 하겠습니다.
특히 60년간의 남북분단의 벽을 무너뜨리고 남북의 체제와 이념을
초극하고 통일의 장으로 나아가기를 채찍질 하는 메세지로 역할하는
통일언어와 한민족 공동삶의 소리와 노래여야 합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민족의 통일은 물론 전인류가 공감하는 세계
아리랑축제로 승화되어 세계평화에 기여할 것이 오늘을 사는 우리
에게 부여된 사명일 것입니다.

우리 아리랑에는 한민족정신의 원형성이 상감되어 있습니다.
단군신화에서 현현된
광명이세의 밝음과 광명정대(光明正大)
홍익인간의 고름과 이타조화(利他調和)
웅녀 알랑의 참음과 인고순리(忍苦順理)의 가치와 정서가 베어 있습니다.
이들 세 가치와 미덕이 우리 아리랑에 그대로 새겨져 있기에 오늘날까지
이어져 올 수 있었고, 또 앞으로도 영원히 이어져 나갈 것입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