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요 <오빠생각> 이야기
鄭宇東
2
5107
2015.08.01 05:08
동요 오빠생각과 뜸부기 이야기
. 동요 <오빠 생각>
최순애 작시 / 박태준 작곡
1.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제
우리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2. 기럭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귀뚤귀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작시자 최순애(1912~1998)는 수원태생으로
겨우 12살때인 1925년 방정환이 낸 <어린이> 잡지에
오빠생각이 동시 입선작으로 실렸습니다. 이 동요가 작곡되고
불리던 시기는 한국이 일제에 식민통치를 받던 시기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작가인 최순애의 나이 터울 많았던 오빠 최영주
는 계몽운동을 했던, 일제의 요시찰 인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여동생 최순애가 기다리던 수원 고향집으로는 거의 올 수가 없
었고, 최순애는 그런 오빠를 걱정하고 그리는 마음을 담아서 이
가사를 썼습니다. 결국 오빠 최영주는 안전히 동생 곁으로 돌아
오지 못하고 객지를 떠돌다가 요절하고 말았습니다.
훗날 최씨는 "고향의 봄"의 작시자인 이원수 선생의 부인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음악회에서 가끔씩 만 나는 이영옥님이
이 두분 사이의 큰 따님입니다. 이후 박태준선생이 이 동요
시에다 가락을 붙여 이 동요곡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유명한 노래가 일본 노래와 비슷하다
는 이야기가 여러 곳에서 제기되고 있어서 안타깝습니다.
이런 사단의 시비곡절의 진상은 대략 이렇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 온 바로는 우리나라 동요의 시원은
윤극영선생의 <반달 :1924년> 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노래
는 중국의 음악교과서에도 "小白船"으로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어린이 잡지에 실린 첫동요는 방정환 동요
시에다 정순철이 작곡한 <형제별:1923년>이라고도 합니다.
문학이나 예술의 여러 장르에서 그 시작이 다 그렇듯이 동요
의 요람기에는 창작보다는 번역과 飜案曲이 더 많았습니다.
이런 여건아래 탄생한 방정환-정순철의 형제별 曲은 일본 음악
가 나리타 다메소오(成田爲三, 1893~1945)가 작곡한 하마베노
우다 (濱邊の歌)이었다는 소파의 증언이 이미 있었던 작품이고
"뜸부기"로 알려졌던 최순애 요로 박태준이 작곡한 <오빠생각>
도 일본의 히로다류타로(弘田龍太郞, 1893~1952)가 작곡한
하마찌도리(浜千鳥)와 매우 비슷하다는 일부 평자가 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뜸부기(뜸북새)는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논에서
가끔씩 볼 수 있던 새였습니다. 아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필리
핀과 보르네오섬 등지의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납니다.
몸길이는 수컷 약 38cm, 암컷 약 33cm로, 암컷은 수컷보다 작고
이마에 붉은 판도 없습니다. 논에서 벼 포기를 모아 둥지를 틀거
나 부근 풀밭에서 벼나 풀 줄기로 둥지를 틀고, 먹이는 곤충류·
달팽이·수생동물 등의 동물성 먹이와 벼·풀·수초 등 식물성 먹이
를 먹습니다.
과거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찾아오는 흔한 여름철새였으나 남획
과 개발에 의한 서식지 감소 등의 원인으로 한동안 자취를 감추
었었습니다. 2005년 천연 기념물 제446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3월에는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희귀 여름철새 뜸부기가 최근 몇 년 새 충남 서산 천수만
일대와 강원도 제주 등지에서 한 두 마리씩 발견되고 있다는 반가
운 소식이 들려옵니다. 생태계 복원에 더욱 힘을 기울여 이들 진객
들의 개체수도 늘어나게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 동요 <오빠 생각>
최순애 작시 / 박태준 작곡
1.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제
우리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2. 기럭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귀뚤귀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작시자 최순애(1912~1998)는 수원태생으로
겨우 12살때인 1925년 방정환이 낸 <어린이> 잡지에
오빠생각이 동시 입선작으로 실렸습니다. 이 동요가 작곡되고
불리던 시기는 한국이 일제에 식민통치를 받던 시기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작가인 최순애의 나이 터울 많았던 오빠 최영주
는 계몽운동을 했던, 일제의 요시찰 인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여동생 최순애가 기다리던 수원 고향집으로는 거의 올 수가 없
었고, 최순애는 그런 오빠를 걱정하고 그리는 마음을 담아서 이
가사를 썼습니다. 결국 오빠 최영주는 안전히 동생 곁으로 돌아
오지 못하고 객지를 떠돌다가 요절하고 말았습니다.
훗날 최씨는 "고향의 봄"의 작시자인 이원수 선생의 부인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음악회에서 가끔씩 만 나는 이영옥님이
이 두분 사이의 큰 따님입니다. 이후 박태준선생이 이 동요
시에다 가락을 붙여 이 동요곡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유명한 노래가 일본 노래와 비슷하다
는 이야기가 여러 곳에서 제기되고 있어서 안타깝습니다.
이런 사단의 시비곡절의 진상은 대략 이렇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 온 바로는 우리나라 동요의 시원은
윤극영선생의 <반달 :1924년> 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노래
는 중국의 음악교과서에도 "小白船"으로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어린이 잡지에 실린 첫동요는 방정환 동요
시에다 정순철이 작곡한 <형제별:1923년>이라고도 합니다.
문학이나 예술의 여러 장르에서 그 시작이 다 그렇듯이 동요
의 요람기에는 창작보다는 번역과 飜案曲이 더 많았습니다.
이런 여건아래 탄생한 방정환-정순철의 형제별 曲은 일본 음악
가 나리타 다메소오(成田爲三, 1893~1945)가 작곡한 하마베노
우다 (濱邊の歌)이었다는 소파의 증언이 이미 있었던 작품이고
"뜸부기"로 알려졌던 최순애 요로 박태준이 작곡한 <오빠생각>
도 일본의 히로다류타로(弘田龍太郞, 1893~1952)가 작곡한
하마찌도리(浜千鳥)와 매우 비슷하다는 일부 평자가 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뜸부기(뜸북새)는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논에서
가끔씩 볼 수 있던 새였습니다. 아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필리
핀과 보르네오섬 등지의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납니다.
몸길이는 수컷 약 38cm, 암컷 약 33cm로, 암컷은 수컷보다 작고
이마에 붉은 판도 없습니다. 논에서 벼 포기를 모아 둥지를 틀거
나 부근 풀밭에서 벼나 풀 줄기로 둥지를 틀고, 먹이는 곤충류·
달팽이·수생동물 등의 동물성 먹이와 벼·풀·수초 등 식물성 먹이
를 먹습니다.
과거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찾아오는 흔한 여름철새였으나 남획
과 개발에 의한 서식지 감소 등의 원인으로 한동안 자취를 감추
었었습니다. 2005년 천연 기념물 제446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3월에는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희귀 여름철새 뜸부기가 최근 몇 년 새 충남 서산 천수만
일대와 강원도 제주 등지에서 한 두 마리씩 발견되고 있다는 반가
운 소식이 들려옵니다. 생태계 복원에 더욱 힘을 기울여 이들 진객
들의 개체수도 늘어나게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