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자료실 > 가곡이야기
가곡이야기

[문화칼럼]가곡의 부활을 꿈꾸며

운영자 0 3399
[동아일보]2007-03-17 45판 39면 1760자 오피니언·인물 컬럼,논단

봄날 오후였다. 매우 피곤했는데, 문득 하대응의 ‘못 잊어’ 가락이 떠올랐다. 왜 잊고 있었을까? 이렇게 편안한 것을. ‘아! 난설헌’을 무대에 올리느라 정신없던 때다. 공연을 끝내고 성악가 몇 분과 가곡에 대한 의견을 나누다가, 살롱음악회 형식으로 가을에 가곡 공연을 해 보기로 뜻을 모았다.

그런데 그리운 노래의 제목을 적다 보니 한 번으로 끝내기는 너무 아쉬웠다. 결국 가을 내내 한국 가곡의 역사를 훑어보는 메들리 음악회를 하기로 했다.

많은 성악가가 당연히 할 일이라며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이렇게 해서 2004년 9월 ‘한국가곡대축제’라는 철없는(?) 공연이 시작됐다. 주변에선 10번의 공연에서 200여 곡의 가곡을 연주한다니 어이없어했다. 그러나 언제 다시 해볼까 싶어 그냥 밀어붙였다. 100명만 앉아도 비좁은 무대와 공간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50여 명의 성악가와 피아니스트가 동참해 두 달 반 동안 온 정성을 다하며 기쁜 마음으로 공연을 치렀다.

관객의 뜨거운 반향으로 10회의 공연을 무사히 마쳤다. 공연이 끝날 때마다 성악가들은 관객과 함께 동요를 부르며 눈시울을 적셨다. 듣기만 해도 정겨운 노래… 오빠생각, 엄마야 누나야, 고향생각, 섬집 아기, 따오기…. 지겨울 만도 한데 모두 아쉬워하며 한 번만 더 해보자고 했다. 그러나 적지 않은 적자를 감당해야 하는 일이라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그런데 무슨 생각이었는지 우리는 2005년 가을에 다시 만나 아무도 예상 못한 두 번째 ‘한국가곡대축제’를 시작했다. 그리고 해마다 공연을 이어가 올해로 4회를 맞았다. 하지만 솔직히 쌓이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어 무척 괴롭다.

우리는 이 공연을 통해 한국가곡에 대한 많은 고민을 했다. 왜 가곡이 갑자기 우리 곁에서 사라졌는지, 왜 가곡 음반은 시장에서 찾아볼 수 없는지, 방송에서는 왜 가곡을 들려주지 않는지, 지원은 왜 없는지, 교과서에 한국가곡은 왜 두세 곡밖에는 실려 있지 않은지…. 끝없는 ‘왜?’가 꼬리를 문다.

시대를 탓할 수도 없고,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없다. 그러나 이대로 한국가곡이 떠나도 좋은지? 파랗고 잔잔한 고향바다가 그리운 ‘가고파’, 그대가 노 저어 올 ‘내 마음’의 호수, 싸리 위에 함박눈이 내리고 초가에는 꽃등불이 타는 ‘고향의 노래’ 등 우리의 고향과 어머니를 닮은 노래가 이대로 숨죽여야 하는지?
정든 고향을 뒤로하고 쫓기듯 떠나갔던 이민 1세대가 먼 이국땅에서 찢기고 차이고 멍든 가슴을 부여안고 사무치는 그리움으로, 소리 없는 절규처럼 불렀던 노래. 할아버지 할머니가 조국 광복을 위해 싸우다 지치고 총탄에 쓰러져 가면서 함께했던 노래. 그 노래가 아버지 어머니에게로, 지금의 우리에게로 이어져 온 것이다. 더는 복숭아꽃 살구꽃 피는 고향은 없고 햇빛에 반짝이는 냇가와 모래사장도 사라졌다. 그 전설이 이제 마음속에서마저 사라지려 한다. 전설이 사라진 시대의 아이들에게 무슨 이야기를 전해 줄 것인지?
지금, 음악인들은 힘을 모아 가곡을 되살려내려는 눈물겨운 노력을 하고 있다. 젊고 유능한 작곡가들이 ‘한국가곡대축제’를 통해 열정적으로 매년 60여 곡의 완성도 높은 창작가곡을 선보인다. 그러나 음악인의 희생과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순수예술을 상업주의와 자본주의 논리에 맡길 수만은 없다고 생각한다.

가곡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이민 4세대를 한민족 공동체로 묶어 줄 문화로 제격이다. 관계기관의 적극적 배려와 국민의 성원으로 가곡이 다시 돌아오고 더욱 향기 높은 ‘한국인의 노래’로 전 세계에 퍼질 날을 그려 본다.

장윤경 한국가곡협회 상임이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