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이런 명제을 올리며... 강경우 / 시인

자 연 2 978
삼가하는 마음으로 감히 올려봅니다...

이글은 강경우 시인님께서
東北工程과 高句麗 . 부족한 글을 보시고 (바위님 글을 읽고/역사 스페설 동영상)
과 같이 올려주신글임 밝혀 둡니다... !
해박학 지식과 연구 문이 회원 제위님 계시판을 빌어 올려 봄이니 양지 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가 가을 볕 따가움 뜻 헤아리듯 우리역사 엄존함을 지켜야 지요 !!
고맙습니다 !!!

동북공정이란 무엇인가? (운영자님 죄송합니다)       
 
동북공정이란 무엇인가?
       

[월간 한배달]단기 4337(2004)년 1월호 기획특집/중국의 고구려사 빼앗기

종합정리 : 오정윤(한배달 집행위원, 한국역사문화연구소장)


동북공정이란 무엇인가?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계열 연구공정(약칭 동북공정)은 중국사회과학원이 직속기관인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이 진행하고, 동북3성(요녕,길림,흑룡강성)의 성(省) 위원회가 참여하고 지지하는 학술연구 프로젝트의 이름으로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2개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다.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의 홈페이지(www.chinaboarderland.com)에 소개된 동북공정간개(東北工程簡介)에 보면, 동북공정은 1976년 개혁개방 이래로 중국의 변경지역중 특히 동북지역은 중국의 전략지역으로 정치?경제적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지역인데, 러시아, 조선(북한), 한국, 몽골, 일본, 미국 등 이해 당사국의 소수의 학자, 정치인들이 동북의 역사를 왜곡하는 등의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위해 시작된 것임을 말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2001년 6월에 장춘에서 중국사회과학원과 중국공산당 길림성위가 연합으로 주관한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 연구공작 좌담회”에서 의사일정(議事日程)이 제시되었고, 8개월에 걸친 준비과정을 거쳐 2002년 2월에 5년 기간을 두고 “동북 변강역사와 현상계열 연구공정(동북공정)”이란 이름으로 공식적인 출발을 하였다.

동북공정에는 사회과학원장인 이철영(李?映,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재정부장(장관)인 항회성(???)이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책임급 간부로는 중국사회과학원 부원장인 왕락림(王洛林) 등 7명, 전문위원회로는 동북공정 주임을 맡고 있는 마대정(?大正)을 포함하여 3명, 연구위원으로는 중국인민대학 청사연구소 소장인 성문덕(成崇德) 교수를 더하여 12명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 조직편성을 정리하면 실제적인 연구인력은 18명이다. 그리고 사무처 인원으로 주임 이국강(李?强) 등 3인이 참여하고 있다.

동북공정에 필요한 경비는 2002년도를 기준으로 보면 중국정부인 재정부에서 200만 위엔(Yuan, 元), 길림성과 흑룡강성, 사회과학원이 각각 25만위엔을 제공하였다. 이를 5년 프로젝트에 맞추면 대략 1,375만 위엔((Yuan, 元), 한국돈으로 환산하면 20억 6,250만원이다. 중알일보의 2003년 7월 15일자 기사의 3조원 프로젝트설과 [역사탐험] 12월호의 길수 서경대 교수의 [중국의 역사왜곡, 동북공정의 실체]에서 제기한 200억위엔 프로젝트는 중국 재정부가 매년 200만 엔을 지원한다는 사실을 200억위엔으로 오보(誤報)한데서 온 잘못이다.

동북공정의 이념적 지향점은 전문위원회에서 제시한 5가지 의식(意識)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1)정치의식으로 국가통일, 민족단결, 변강안정의 목표에서 출발하며,
2)전체의식으로 동북변경이 연구의 주체지만, 통일적 다민족국가와 동북아 전체의 전략구도    에서 연구하며,
3)책임의식으로 국가, 인민, 역사에 책임을 지고 비과학성과 실용주의를 단호하게 배척하며,
4)정품(精品)의식으로 동북공정은 정부정책을 돕고, 후세의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며,
5)성신(誠信)의식으로 자율과 성실의 원칙을 견하여 임무를 완성한다로 되어 있다.
  이중에서 1항과 2항이 동북공정에 담긴 진정한 속뜻이라고 볼 수 있다.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중국측 의도와 논리

동북공정은 2002년도 2월에 공식적인 출발을 한 프로젝트이지만 손진기, 양소전 등 개별적인 학자들에 의해 꾸준하게 준비되었고, 2000년에 이르러 동북아 정세의 급변에 따라 사회과학원의 직속기관으로 설립된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에서 공식 추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북공정에 대한 중국의 의도는 우선 [동북변강연구를 더욱 강화하고, 학과의 건설을 촉진한다(加强東北邊疆硏究, 促進學科建設)]라는 제목의 왕뤄린(王洛林, 왕락림, 동북공정 영도소조 조장)의 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는 이 글에서 “조선(북한)과 한국의 소수 학자들이 역사를 왜곡하고 혼란을 부추기며, 정치적인 목적으로 오류를 퍼트린다”고 하면서, 그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다음과 쓰고 있다.

1)다른 마음을 품고 고구려와 발해 등 고대 중국의 동북지방에 속한 정권을 고대 조선족의  독립국가이며, 오늘날 중국 동북 변강이 역사상 고대 조선의 영토였음을 논증하려고 하며,

2)역사상 민족분포와 이동문제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혼란을 만들어, 무릇 청동단검의    출토지역이 모두 고대 조선의 영역이며, 심지어는 부여 등 고대 중국 동북 변강 원종족이    모두 고조선에서 분열되어 나간 하나의 후국(侯國)으로 고조선의 일부분으로 논증하여,    이것을 근거로 중국 동북지역을 고조선의 범위로 넣으려고 하며,

3)이른바 간도문제로 중국 길림 연변지역의 근대 조선민족의 이민문제를 국경문제로 제기    하고, 이를 근거로 영토요구를 제기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동북공정의 중요한 임무는 ”동북지방사, 동북변강민족사, 동북변계연혁사(東北邊界沿革史), 고구려역사와 고고, 발해역사와 고고, 19세기 조선이민의 중국사, 동북지역과 주변 국가지역의 관계사와 변계연혁사 등의 연구방면에서 연구 성과를 집중하고, 주변 국가에서 제기하는 의혹과 난점을 우세한 역량으로 집중 공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전철수(全哲洙, 동북공정 영도소조 부조장, 길림성 부성장)는 [동북변강 문제연구를 펼치는데 있어 몇가지 문제(開展東北邊疆問題硏究的幾個問題)]라는 글에서 3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동북변강문제 연구의 중요한 의의를 충분하게 인식한다. 동북의 변강문제는 학술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영토, 국가강역, 국가주권의 정치문제이며, 변강이란 차원의 지역문제가 아니라 중국 전체의 문제이다.

둘째, 동북 변강문제 연구중의 몇가지 관계를 정확하게 처리한다. 그중에서 학술문제와 정치문제를 정확하게 처리하여, 영토문제의 완전한 처리, 변강의 안정, 민족단결을 추구하며, 또한 역사와 현실의 관계를 잘 처리하여 변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심을 둔다.

셋째, 동북 변강문제 연구를 계속 강화한다.
변경의 각 성은 자금지원과 지지를 지속적으로 보내 변경문제 해결에 적극 노력한다.

전철수는 변경에 해당되는 길림성 부성장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므로 그의 견해는 중국 정부의 일반적인 의사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결국은 위의 언급에서 우리는 동북공정의 목표가 중국의 정치문제, 민족문제의 해결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임을 알 수 있다.

동북공정에서 고구려 문제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의 홈페이지(www.chinaboarderland.com)에는 동북공정의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동북지방사, 동북변강민족사, 동북변계연혁사(東北邊界沿革史), 고구려역사와 고고, 발해역사와 고고 등 여러 항목중 특별히 고구려사에 관한 특집을 게재하고 있다.

이것은 동북공정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심적인 위치에 고구려사가 있다는 의미이며, 고구려사를 전후한 고조선, 부여사, 발해사, 동북의 여러 민족사에 관한 중국측 입장을 관철시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여진다.

[고구려전제(高句麗專題)]로 게재되어 항목에는 이대룡의 [고구려는 고대 중국의 지방민족정권], 여성의 [고구려, 고려, 조선족을 혼동할 수 없다], 마대정의 [고구려는 몇차례 천도의 역사], 양보융의 [고씨 고려와 왕씨 고려는 두개의 성격이 같지 않는 정권], 마대정의 [중국학자들의 고구려 역사연구 100년의 역정] 등 총5편의 글이 실려 있다.

이대룡은 [고구려는 고대 중국의 지방민족정권]에서,
1)고구려는 중국 경내에 있는 민족이 건립한 지방정권이다.
2)고구려의 활동중심은 몇 차례 이동을 하였지만 결코 중국 한사군의 범위를 벗어난 적이    없다.
3)고구려는 줄곧 중국 역대 왕조와 신속관계를 유지하였고, 결코 중국의 바깥을 벗어난 적    이 없다.
4)고구려 민족의 대다수는 중화민족에 융합되었다
  라고 쓰고 있다.

여성은 [고구려, 고려, 조선족을 혼동할 수 없다]에서, 고구려의 주체종족은 예맥족이고, 여기에 비예맥족(조선유민, 한족, 선비인, 숙신인 등)이 합류하여 형성된 고대 민족으로 중국의 식민지인 현도군, 요동군을 벗어난적이 없고, 고구려 멸망후 250년이 지난 뒤에 세워진 왕씨 고려와는 지역상, 시간상 성씨상, 왕조 치하의 구성원상 전혀 다른 왕조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현대 조선족(한국인)은 신라인을 주축으로 형성되었고, 약간의 고구려인, 말갈인, 한족 등이 융합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양보융은 [고씨 고려와 왕씨 고려는 두개의 성격이 같지 않는 정권]에서 이르기를,
1)역사상 고려라는 이름의 왕조는 서기전 37년과 918년에 건국된 2개가 있는데, 건국시간    이 현격하게 다른 두 개의 다른 왕조이며,
2)고씨 고려는 압록강 이북, 왕씨 고려는 신라의 영토를 관할하는 등 통치 구역이 서로 다    른 왕조이고,
3)관할 경내의 민족에서도, 고씨 고려는 고구려족이 주체이고, 왕씨 고려는 신라인이 주체    이며,
4) 왕씨 고려는 고구려의 후예가 아니라고 언급하였다.

이상의 예에서 보듯이 중국학자들의 동북공정에 관한 의도는 고구려사와 고려사, 조선사와의 단절을 통해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변방지역사로 귀속시키려는 의도가 명백한 것이다.

동북공정의 연구 인력과 연구항목

중국의 사회과학원 직속인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의 홈페이지(www.chinaboarderland.com)에는 동북공정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과 함께 연구인력 및 프로젝트를 일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연구인력은 고문 2, 책임지도급 6인, 전문위원회 3인, 연구위원 12인, 사무처(판공실) 3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문(? ?)
이철영(李?映)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중국 사회과학원장
항회성(???)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 재정부장

영도소조(??小?)
조장(??)
왕락림(王洛林)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 중국 사회과학원 부원장
부조장(副??)
양광홍(?光洪) : 흑룡강성 성위원회 부서기
부조장(副??)
전철수(全哲洙) : 길림성 부성장
부조장(副??)
조신량(?新良) : 요녕성 부성장
부조장(副??)
마대정(馬大正) :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원

비서장(秘??)
여성(勵聲) : 중국 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원

전문위원회(?家委??)

주임(主任)
마대정(마대정) :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원
부주임(副主任)
진기명(秦其明) : 중국 사회과학원 부비서장, 연구원
부주임(副主任)
여성(勵聲) : 중국 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원

연구위원(硏究委員)
성문덕(成崇德) : 중국인민대학 청사연구소 소장, 교수
왕정(王正) :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
학시원(???) :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왕위(王巍) :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부소장, 연구원
우패(于沛) :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사연구소 부소장, 연구원
반춘량(潘春良) : 흑룡강성 선전부 부부장
보평(步平) : 흑룡강성 사회과학원 부원장, 연구원
궁극(弓克) : 길림성 선전부 부부장
병정(?正) : 길림성 사회과학원 원장, 연구원
상위국(常??) : 요녕성 선전부 부부장
조자상(趙子祥) : 요녕성 사회과학원장, 연구원
유후생(?厚生) : 중국변강역사와 사회연구 동북공작참 무참장, 교수

동북공정 사무처(工程?公室) 성원(成?)

주임(主任)
이국강(李?强) :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부 주임, 연구원
유위(??) :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연구부 부연구원
이대로(李大路) :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행정판공실 주임

[동북변강역사와 현상계열 연구공저의 과제]로 되어 있는 연구항목은 2003년 3월 20일에 수정되었고, 그 내용은 제1부분 연구계열과 제2부분 자료(당안), 문헌정리, 번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1부분의 연구계열은 모두 6개 항목으로 세분되어 있다.

1) 중국 강역 이론 연구 : 중국의 국가, 강역, 국경 이론문제 연구와 더불어 고대 중국과 주    변의 여러 종족, 국가의 관념과 근대에 이르는 기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봉간왕조 시기    의 번속관계, 속국, 조공제도의 연구
2) 동북지방사 연구 : 동북 변강 역사의 형성과 변천의 연구, 동북변강의 영토, 국경 교섭,    국경조약 등의 문제 연구, 발해유적지 현상의 조사연구, 간도문제연구, 근대 이후 일본과    러시아의 중국에 대한 동북역사 지리의 조사와 연구
3) 동북민족사 연구 : 명청시기의 동북 여러 종족들의 의식과 변강사회 연구, 동북 변강지    역 양측에 걸쳐있는 민족연구, 고조선의 역사, 종족의 연원, 문화연구
4) 중조관계사 연구 : 조선반도의 고문명 기원, 조선반도의 국가, 종족 연구
5) 중국 동북변강과 러시아 원동(연해주)지역의 정치 경제 관계사연구 : 중국 동북변강과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민족정책 비교연구, 중국과 러시아의 동단 변계 연혁 및 국경임무
  문제연구
6) 위의 5항목을 기초로 더욱 심화되는 응용연구

제2부분의 자료(당안), 문헌정리, 번역 연구로 2개의 분야로 나뉘어져 있다.

1) 자료(당안) 문헌 정리 : 동북변강에 관한 사료 정리와 연구, 동북변강역사지도집의 수집, 정리, 연구와 함께 동북 변강 역사 사진(圖片)의 수집, 정리, 연구
2) 중요저작의 번역 : 일어로 된 관련 중요 저작 및 자료의 번역, 서양어로 된 관련 중요 저작 및 자료의 반역
이상의 연구항목에 따라 지금까지 진행중인 연구성과와 번역자료 등은 다음과 같다.

제1차 통과된 프로젝트 과제(第一批通?立???)

序?.  ??名?.  申?人.  完成? 순

1.黑?江通史-步平 2002.04
2.20世?中??北?疆文化?究- ?定天 2002.06
3.好太王碑1580年- 耿?? 2002.08
4.中??北?俄?(??)???系史- ??? 2002.09
5.渤海?史- 魏?忠 2002.09
6.箕子?箕子朝??究- ?碧波 2002.09
7.俄??部移民?????究(1861?1917) -王?菊 2002.09
8.渤海史? -朱?? 2002.09
9.中??北古民族?展史- 李德山 2002.09
10.中?相?姓氏族源考?- 王雅? 2002.09
11.民??期?北地方政府治??究- 胡玉海 2002.09
12.近代中??北地?的??移民???究- 王?今 2002.10
13.?明高句?史- ?玉良 2003.01
14.?北民族?域?置?究- 程?娜 2003.06
15.?朝?北治??究 -徐德源、??川 2003.09
16.??法?中朝?界????- 焦?明 2003.09
17.?代?疆城??究- 李治亭 2003.12
18.《三?史?》?注及?究- ?子敏、朴?奎 2003.12
19.?白山地??史?文化及其?????究- ?厚生 2004.02.
20.?北?族人口史?究- 孟?耀 2004.05
21.中??代治理?北?疆思想?究- ?信君 2004.06
22.渤海移民的治理????究- 武玉? 2004.06
23.?代??江流域的封禁????究- ?杰 2004.06
24.??江以南的高句??址???究- 徐日范 2004.08
25.俄?斯??地?的中?人- ?宗海 2004.12
26.?北?疆多民族文化交流?融合- ?正 2004.12
27.???期?北?界?突?界?交涉?究- 王?祥 2004.12


제1차 번역류 과제 일람표(第一批?????一?表)

序?, 主持人, ?校人, ??名? 순
1. ??林, ???- 朝???史?界的古朝?、夫余?究?著??
2. ?赫秀, ??? -朝??界高句?的?究文?
3. ?永振, 朴?奎 -?外渤海史?究?料??
4. ???, 于翠? -朝文相?重要著作和?料??
5. 高敬洙, ?能洙 -中朝?境史??白山?料院????
6. ?英曹, ?琴 -朝?半????究
7. ?建?, 朴成浩- ??和朝?的??、社???比?
8. ?立枝, 徐昌? -21世?俄?斯?部?展?略和??
9. ?宗海, ?立枝 -阿穆?沿岸地?的中?人
10. ?宗海, ?本栽 -90年代上半期的中??俄?斯????地?合作??
11. 王?士, 徐昌? -???款?已?定
12. 宿?林, ?建恒 -俄中??中???易?系史
13. 王晶高, 文? -?本主??代旅俄?工在??
14. 林?山, 姚? -大黑?子?上的女?考古?存

제1차 자료(당안류) 과제 일람표(第一批?案???一?表)

??, 主持人, 所在?位, ??名?, 完成?? 순

1 吳元? -中?第一?史?案? ?北?疆?史?案??·?春衙???? 2005.12
2. ??林 -??省?案? ?北?疆?史?案??·??卷 2003.12
3. ??? -吉林省?案? ?北?疆?史?案??·吉林卷 2003.12
4. 田汝正 -黑?江省?案? ?北?疆?史?案??·黑?江卷 2003.9


이제까지 중국측에서 출간된 서적과 자료, 동북공정과 관련한 공식 홈페이지의 글을 통해 실펴본 바에 의하면, 중국측의 동북공정은 치밀하고 원대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우리 한국측에서 중국에 대한 즉자적 대응과 요구는 일정하게 한계가 있음도 알 수 있다. 중국측이 국가적 차원에서 5년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적어도 우리는 그보다 앞서는 계획과 논리를 갖추고 대자적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중국측의 논리와 진행과정을 비판하고 견제하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의 논리와 장기 비젼을 가지고 동북아의 전체를 조망하고, 나아가 한반도의 역사에 국한하고 있는 소한국사의 역사관을 초월한 대한국사(大韓國史)의 관점에서 동북아의 역사, 문화, 민족, 지리, 국경, 정치, 경제 등에 대한 다각적이고 치밀한 준비를 시작해야 할 것이다.(끝)

 
 
2 Comments
나비 2004.08.12 02:11  
  아름다운 노래를 감상하다가 갑자기 전사가 된 기분입니다!
정말 전사가 되어 싸워야겠습니다!정말 치밀하게 논리적으로...
불타는 사명감으로...우리 역사학자님들!저들에게 지지 마세요!
bell ring 2004.08.12 19:58  
  동북공정이란 무었인가?잘읽었습니다, 지난 잘잘 못을 거울 삼아 ,그들의 논조를 반박 할수있는 대책 강구에 힘 쏟으실 전문 학자님들께 성원을 보냄니마! 화이팅!!!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