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김치 사발면

esther 6 1761
비가 오는 추운 날  그 것도 밖에서 김치 사발면을 먹는 맛이란......

평소에 라면을 잘 먹지 않는 나도 날씨가 추우면 따끈한 국물이 먹고 싶어 김치 사발면을 먹게 된다.
그 것도 내가 일하는 미국 백화점안에서  김치 사발면을 당당하게 먹는다.
요즈음은 미국사람들도 김치에 관심이 많아서 김치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김치의 영양가치나 다양성을 말하면 그 들도 깜짝 놀란다.
특히나 다이어트에 무척이나 관심 많은 사람들이기에  김치 열심히 잘 먹으면 날씬해진다구 까지
선전하면  그 김치 좀 먹어보자구 아우성이다....(진짜인지는 모르지만... 주로 김치만 먹고 살은 우리 선조들 모두 날씬하지 않는가......) '한국 사람들 봐라 모두 날씬하쟎아....'라고 하면 '그래,  맞다 ' 고  맞장구 친다.....

외국에 살면 왜 이리도 애국자 되는지  모든 것이 내 모국에 대한 것은 자랑거리 뿐이다.

요즈음 한국에 있는 아이들 햄버그에 길들여져서  김치 잘 않 먹는 아이들 많던데...
일전에 한국에 친구 아이들이 우리집을 방문한 적이 있는데 우리 아이들은 김치 없으면 밥을 못 먹는데  한국 아이들은 오히려 양식을 더 좋아하는 것을 보았다.

김치가 얼마나 다양한가 ?
배추김치,  무우김치, 열무 김치, 총각김치, 백김치, 동치미, 보쌈김치, 고들빼기 김치, 콩잎김치,
오이김치, 깻잎 김치, 호박 김치......등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하다.

맛도 얼마나 다양한가 ?
겨울 땅 속 깊이 뭍어둔 김장 김치 맛이란 .... 어디다 비교 할까 ?

이런 김치의 우수성을  외국사람에게 좀 알려야 겠는데,  그냥 김치는 냄새가 너무 지독해서(?)
처음 알리기가  쉽지 않다.  물론 맛을 본 사람들은 너무 좋아하는데.....처음에는  좀.....

그래서  가끔 김치 사발면을 먹는다.
그러면 주위의 미국 친구들이 서로 맛 좀 보자고 한다.  처음에는 너무 매워서 호호~~~ 거리다가
나중에는 나 보다 더 좋아한다.
하나 먹으려면 한 박스가 그 자리에서 없어진다.  그래도 한국 김치 맛이  세계사람들에게 알려 진다면야......  요즈음은 어찌나 김치 사발면을 좋아들 하는ㅡ지  나만 보면 " 에스더, 김치 사발면 ~~~
" 한다. " 야 , 너 김치 사발면 장사해 " 라고 웃으면서 농담 하는것을  들으면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오늘도 김치 사발면 하나를 먹기 위해 한 박스를ㅡ 풀고.......

6 Comments
미리내 2003.02.17 11:22  
  애국자가  따로없지요..

고국을 떠난 사람들에 공통된 마음아닐까요,,
우리네들도 마찬가지 일껍니다,,일단은  품안에 있으니  애국이 뭔지를  모르는것(??)

애국사랑에  열정을  오늘도  김치 한박스가  동이 났으니....에고 하지만,
눈으로 보는  마음도  그저 좋기만 합니다,,

바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지요..(그거  아무나 못합니다  욕심않은  놀부심보는 아니되지요)
나리 2003.02.17 11:28  
  ㅎㅎㅎ
두어달전 신탄리역 끊어진 철길에서,
펑펑 쏟아지는 눈을 맞으며 사발면 먹던 생각이 납니다.
작은 딸 아이가 " 엄마! 이렇게 먹으니까 좀 거지같은데, 맛은 짱이야 !" 이러데요.
에스더님이 이국땅에서 드시는 김치 사발면 맛!
가이 짐작이 됩니다.
더구나, 머언 고국의 따스함과 그리움까지 곁들여진 그맛이란------!!!
김아지 2003.02.17 12:17  
  에스더님의 김치사랑보구 반성중입니다.
김치를 싫어함 자칫 매국노될 가능성... ㅋㅋ무서버요.
김아지 오늘부터 욜씨미 김치 먹겠습니다.
김치를 별루 안 좋아하는 바부팅이거든요. 그러잖아두 요즘
김치 먹기노력중입니다. 김치,김치를 먹자. *^.^* 아우~~ 매워.
가객 2003.02.17 16:49  
  설령 자기 것이 아무리 못난 것이라 해도
자기 것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다른 것을 사랑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하물며 어떤 나라나 민족의 것에 비해
아름다운 우리 것에 대한 사랑은
아무리 크다 해도 지나치지 않으리라 봅니다.

에스더님의 우리 것에 대한 사랑은
고국에 있는 우리들의 사랑보다 훨씬 더 크십니다.

아이들이 우리 전통을 계승하고 우리 것을 사랑하도록
정성스러이 노력하시면서
고국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시를 끊임없이
지으시는 모습을 보며
존경과 더불어 찬사를 보냅니다.

이제 감기 몸살에서 완전히 회복하셔서
언제나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새 봄을 노래하시기를
기원합니다.

bach10 2003.02.18 01:57  
  비록 일본에서 시작 된 인스턴트 라면 이지만...지금의 그 라면들은 거의 우리 고유음식이 된거나 마찬가지 인것 같네요...
열심히 많이 드시고
우리 나라의 모든 것을 사랑하고 자랑하세요...
싸나이 2003.02.19 02:41  
 
 라면의 유래와 역사

라면이란 면을 증숙시킨후 기름에 튀긴 것 또는 기름에 튀기지 않은 건면에 분말 스프를 합친 것을 일반적으로 라면이라고 합니다. 라면은 조리가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특성이 있기에 [제2의 쌀] 이라고 불려지고 원조는 일본입니다. 혹 중국이 원조라는 설도 있지만 지금과 같은 라면은 일본에서 처음 생산 되었습니다.
 
 
 
 
 
 1958년 "안도우 시로후꾸"라는 일본인이 술집에서 튀김요리과정을 유심히 관찰하던 중 라면제조법을 생각해냈다고 합니다. 즉 밀가루를 국수로 만들어 기름에 튀기면 국수 속의 수분은 증발하고 국수는 익으면서 속에 구멍이 생기는데 이 상태로 건조시켰다가 필요할 때 뜨거운 물을 부으면 작은구멍에 물이 들어가면서 본래의 상태로 풀어지게 된다는 점을 이용한 것입니다.. 
 
 
 
 
 그 해 가을 일본의 일청(日淸)식품이 국수발에 간단한 양념국물을 가한 아지스케면(味附麵)을 [끓는 물에 2분] 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시판한 것이 그 효시이고, 1959년 에스코크, 1960년 명성식품에서 치킨라면을 잇달아 출시하면서 라면이 본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당시 라면은 아지스케면 (味附麵)으로서 면(麵) 자체에 양념을 가한 것으로 시일이 경과되면 쉽게 변질되는 단점이 있어 1961년 명성식품에서 현재와 같은 스프를 분말화하여 별첨한 형태의 라면을 생산하게 되어 오늘에 이어지고 있습니다.
 
 
 
 
 라면의 어원(語原)을 찾아서
 
 
 
 
 
 오늘날 흔히 쓰이고 있는 '라면'이라는 말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요?.
라면이라는 용어가 출현한 것은 20세기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일본의 라면은 손으로 가늘고 길게 늘이는「데노베 라면」으로 흔히 납면(拉麵)으로 불렸는데, 이것이 일본어의 「라멘」의 어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밖에 라면의 어원에 대한 믿거나 말거나 하는 얘기들이 있는데 몇가지를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라면의 어원에 대한 믿을 수 없는 이야기들
 
 
 
 
 
 첫째 일본어사전에 노면(老麵)이란 말이 있습니다. 중국어사전에는 없는 말이지만, 老麵 노멘」이란 일본발음이 「라면」의 어원이라는 설(說)이 있습니다. 둘째 왕문채라는 중국인이있었습니다(확인안됨). 일본 라면의 뿌리인 북해도 竹家(다께야)식당의 요리사였는데, 「(음식이) 다 됐습니다」라는 표현으로 「好了,ハオラ,하오라」라는 특이한 표현을 썼다고합니다. 이 라(ラ)를 따서 라면(ラ-メン)이라 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셋째 가장 믿을 만한 설입니다. 1줄→2줄→4줄→8줄... 이런 식으로 면을 늘려 빼는 제법을 중국에서 납면(拉麵)이라 한다. 납면의 중국발음이 「라미엔」인데 이것이 굳어 「라-면」이 되었다는 설입니다.
 
 
  우리나라의 라면의 역사
 
 
  우리나라 라면의 생일은 1963년 9월 15일입니다. 식량부족으로 절대 빈곤에 처해 있던 1963년9월 삼양식품이 일본으로 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치킨라면'을 선보이면서 시작되었고 그 후 2년 뒤인 1965년 롯데공업㈜ <현재 농심>에서 롯데라면이 생산하면서 국내 라면시장이 활성화되었습니다.
뒤이어 신한제분의 닭라면, 동방유량의 해표라면, 풍년식품의 뉴라면, 풍국제면의 아리랑라면 등이 생산되면서 메이커들의 난립상을 보였으나 1969년에 이르러 농심과 삼양의 2개사 체제로 압축되었습니다.
1983년까지 농심과 삼양의 2개사의 의해 14년간 주도되어 오던 라면업계에 1983년 한국야쿠르트, 1986년에 빙그레, 1987년 12월에 오뚜기라면이 라면시장에 참여함으로써 현재 5개사가 약 1조 2천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현재와 같은 방대한 시장이 형성되게된 요인으로는 당시 식량부족에서 온 '절대빈곤 해소기여'라는 기업인들의 의지와 정부지원의 뒷바침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50년대에서 70년대로 이어지면서 급속한 경제발전에 힘입어 국빈소득향상, 이에 따른 레저생활 증가, 영양을 고려한 주식 및 간식용으로 수요가 계속 늘어난 것이 주 요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이 챙긴 중일전쟁의 또 다른 전리품을 라면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근대적인 의미의 라면은 1937년에 발발한 중일전쟁때 처음 일본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설에 의하면 라면은 이때 중국군의 전투비상식량으로 사용되었는데, 일본군에게 생포당한 중국군 포로들의 짐꾸러미에서 라면이 발견 되었다는 것입니다. 중국에는 예로부터 기름에 튀긴 요리가 발달하였으므로 그들은 식품을 튀기게 되면 식품이건조되어 저장성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라면이 중국 군인들의 비상식량으로 사용된것은 수분이 적어 가볍기도 할 뿐더러 기름을 함유한 고칼로리 식품인 데다 급할 때는 끊이지 않고 과자처럼 먹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일본인에게 전해진 것인데, 이렇게 하여 초보적인 튀김라면은 비상식량, 전쟁식량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으며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한편 중국에는 伊府麵이라는 것이 있는데 밀가루와 계란을 반죽하여 기름에 튀긴 것으로 제조원리는 인스턴트 라면과 같으나 상용화되지는 않았습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현대 사회에 들어 오면서 편리성, 신속성, 경제성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종래의 라면을 개량 발전시켜 인스턴트 식품화했고 이 과정에서 라면은 '안도우 시로후쿠'가 즉석라면으로 상용화했는데 그는 일본인들이 즐겨먹는 (생)라면을 가정에서도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할 방법을 연구하다가 튀김요리에서 제조방법 힌트를 얻었고, 이렇게 시작된 것이 즉석라면 (인스턴트 라면)이라고 하여, 재래의 라면과 구별하는 것이 되었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