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역사

鄭宇東 0 1,616 2011.10.03 13:12
영화의 역사
 
 
프랑스의 영화연구자들은 우리 시정인들이 영화라 부르는 것을 두고
영화 자체를 둘러 싼 기술적 측면을 말하는 필름(film)과
영화예술의 미학적 내부적 구조를 말하는 시네마(cinema)와
앞의 두 용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무비(movie)를 구분하여 쓰고 있습니다.
이들 용어는 서로간에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또 혼동하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무비로 통합된 개념이 경제적 정치적 미학적 측면을 아우르
고 서로 충돌하고 또는 협력하면서 영화의 발달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영화의 역사를 돌아보면
그것은 발명 이래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불과 한 세기를 조금 넘었을 뿐 일천
합니다. 회화·건축·조각·연극·무용·문학 등과 같은 자매예술이 몇 천년 만년의
오랜 역사를 가진 것과 비교해 보면 영화의 역사는 이제 막 시작된 것 같은 느낌
이 듭니다. 이런 이유로 해서 영화를 '제7의 예술'이라고도 하고 '영상예술의
파이어니어' 라고도 합니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이미 전세계에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대중에게 정신의 양식
을 공급해 주는 예술수단으로서 영화는 급격히 성장해 왔습니다. 그것은 20세기
메커니즘의 한 특징이라 할수 있는 시청각 복합체의 놀라운 표현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영화는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대중오락의 일환으로서, 그리
고 현실인식과 사회교화와 동원을 위한 매스 미디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사실 영화는 짧은 기간이나마 부단히 자신의 기술을 개혁해 왔고 자신의 표현방
법을 개발해 왔습니다. 에디슨은 움직이는 그림이란 원시조상들의 꿈을 시네토스
코프로 이루었고, 뤼미에르 형제가 1895년 그들의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상연한
것을 시발점으로, 사실을 동적으로 기록하는 하나의 진귀(珍貴)한 '눈요기'였던
원시적인 활동사진시대를 거쳐, 실험영화를 만들고, 다시 그것은 무성영화시대에
서 토키영화시대로, 색채영화시대로, 그리고 대형영화시대로 발전해 왔으며,

표현방법에 있어서도 
한 개의 장면을 고정촬영한 원시표현 형태에서 클로즈업 수법이 구사되었고,
급기야 1915년 영화의 아버지 그리피스의 <국민의 창생>이 발표되었을 때는
원경(L.S.), 대사(C.U.) 등을 이용하여 몽타주의 원리를 보여주며 영화형식을
완성된 작품으로 발전시켜 갔습니다. 1920년대 미국의 '사일런트 코미디'와 유
럽의 '아방가르드', 독일의 표현주의와 러시아의 몽타주 이론의 개발을 거친 영
화 미디어의 변모는 1927년 '사운드 영화'의 창시와 더불어 이탈리아의 '네오
리얼리즘'(1943-52), 프랑스의 '누벨바그'와 '시네마 베리테'(1959-63)에 이어
오늘날 순수 독립영화파와 '뉴 아메리칸 시네마'로 이어지는 급격하고 다양한
변모를 겪어 왔습니다. 즉, 영화만이 지닌 독특한 표현수단으로 그 기능을 발휘
하여 스펙터클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네오 리얼리즘 그리고 누벨 바그나 언더
그라운드필름에 이르기까지 부단히 자신의 표현수단을 개혁해 왔던 것입니다.

또 한편으로 영화는 그 장르나 스타일에 있어서
초창기 뤼미에르 형제는 현실을 그대로 표현하는 사실주의의 경향을 띄웠고
처음에는 한적하고 조용한 시골 드라마풍 소재의 보드빌스타일에서
이후에는 도시화 경향에 따라 드라이한 하드보일드의 탐정물로 바뀌고
정의가 승리하는 권선징악의 교훈적 웨스턴스타일이 대세를 이루다가
교훈을 팽개친 오직 흥미위주의 악당들이 소란을 피우는 마카로니웨스턴스타일
을 지나 일본의 사무라이物, 중국의 무술영화, 오컬트 호러영화를 양산해 내었고 
마침내 우리들이 끝없는 우주로 시야를 넓혀서 첨단과학과 기술과 장비로 새로
히 우주와 SF와 판타지영화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영화의 세계에는 영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영화의 언어와 영화의 문법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에 대한 사전지
식도 필요 불가결합니다. 언어학에서 말하는 기표(parle)와 기의(parlon)에 대비
되는 영화예술의 영상과 메시지를 결부시키고, 공간 조정을 하는 연출인 미장센
(miise en scene)과 시간조정을 하는 연출인 몽따쥬(montage)에 의한 조직화된
영화의 통사관계를 읽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