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 이야기 ㅡ 손자 탄핵 ㅡ

鄭宇東 0 1,600 2011.10.03 11:58
사랑방 이야기 ㅡ 손자 탄핵 ㅡ
 

옛날에 과거시험에서 문과에 합격하여 급제하고, 무과에 합격하여 出身하면
그들은 촉규화(접시꽃) 모양을 한 어사화를 모자에 꼽고 거리를 행진하였지
만, 한편으로는 앞으로 일할 근무처나 선배에게, 그리고 관계기관이나 거래
처에 낯을 익히는 일종의 통과의례절차인 新任禮를 가졌습니다. 이때에 그의
등용에 이의를 제기 할 수 있었다니 오늘날의 청문회에 비길만큼 민주적인
제도를 왕권시대에도 운용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과거에 급제한 한 사람이 신임례에 나섰다가 점심참에 이르러 가는
길목에 있는 종조부께 문후하고 푸짐하게 차린 점심상을 받아 먹었습니다.
식사후 따라 온 수하들을 독촉하여 떠나려하니까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 자네, 더 나다닐 필요 없네" 하여 어리둥절한 손자가 무슨 말인가 물으니
" 내가 한상 잘 차려 준것은 나누어 먹으라는 뜻이었고, 또 벼슬길에 나선
사람이 몇 사람 수하사람도  거느리지 못하면서 어떻게 많은 백성을 다스
릴 수 있겠느냐" 고 나무라면서 손자의 벼슬길을 아예 막았습니다. 


ㅡ 호박국을 끓여라, 남대문을 열어라 ㅡ

어릴때 동무를 약올려 놓고 골을 내면 놀려주던
"골 났네 성 났네 호박국을 끓여라  남대문을 열어라"라는 소리는 요령부득입니다.
어떻게 호박국과 남대문이 어울리게 되었는지 나의 어리석은 새머리로는 도무지
연상의 연결고리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좋은 약이 없던 옛적에는  임산부가 출산을 한후 부기가 있을때 잘 익은 누른 호박
을 삶아 그 물을 먹고 조리하는 것이 민간처방이었습니다. 그래서 규모있는 살림을
하는 대갓집에서는 늙은 호박을 가을에 수확하여 겨우내 잘 갈무리하여 두었다가
가족이나 이웃 아무나가 필요하면 언제든지 나누어 주어 생광스레 쓰게 했습니다.
농삿일이 주업이던 시절에는 비가 오지 않고 가물때는
임금부터 근신하며 하늘에 비를 비는 기우제를 지내고, 음양조화를 맞춘다고 평소
와 는 다른 조치를 취하는 가운데 동, 서, 남대문을 닫아 걸고 북쪽의 숙정문만 열
어 이문으로만 통행하게 하니 다른 문으로 다니던 사람들이 불편을 느끼고 이 일로
성화가 치밀어서 알 문절에서의 임산부처럼 얼굴이 퉁퉁 부은 사람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들에게 호박국을 끓여 처방하고, 기다리던 비가 오면 남대문을
활짝 열어서 울화통이 풀리게 한다는 지나간 한때의 이야기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