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름 松島에의 一考

鄭宇東 0 1,497 2011.09.30 17:44
땅이름 松島에의 一考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기에
바다의 연안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무수히 산재되어 있습니다.
이들중 작은 섬에는 송도(松島)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섬이 많습니다.
부산의 송도가 그렇고, 인천의 송도가 그러하며, 통영 진해 목포 여수의 송도
도 다 그런 예입니다. 우리는 글자를 보고는 소나무와 무슨 관련이 있는 것으
로 누구나 추측합니다만, 나는 여러 궁리끝에 지금, 나의 생각은 좀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산과 들, 섬치고 소나무 안 자라는 곳이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서
송도(松都)이고 송악(松岳)이라면 섬들은 모조리 다 송도(松島)이어야 할 것
입니다. 설혹 개성(開城)은 그렇다 치더라도 섬들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
설이 가능합니다. 인즉슨, 우리는 "松"자를 "솔"이라 훈하고 "송"으로 읽어 글
자를 배워 익힙니다. 이때의 훈 "솔"은 소나무가 아니라 "품이 솔다" 할 때의
좁고 작다는 "솔"에 해당하는 말로 솔섬/송도는 작은 섬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풀이는 우리나라의 원고유 지명에 어떤 이유로서든지 한자화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무수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충남) 竝川 <===>  아우내                  서울 道峰산 <==> 돌봉산
(마산) 合浦 <===>  두물개                  서울 石貫동 <==> 돌꽂이
(경기) 兩水里 <==> 두물머리                서울 水踰리 <==>무너미               
(강원) 文幕 <===>  물(의) 마을            서울 살피재 <==> 살펴너미
(안산) 古棧 <===>  곶(의) 안              서울 花田 <===> 곶(의) 밖
(경기) 板橋 <ㅡ너다리ㅡ>넓은들            板門店 <ㅡ널(판)문다리 놓은곳
(강원) 鐵原 <===>  쇠벌(서울)            (경주) 東京 <==> 쇠벌
(문경) 鳥嶺 <===> 鳥 / 억새 / 사이 / 新 과 관련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지명들의 표기의 기원은 이두문의 영향일 것입니다.
원래가 우리말인 고유지명을 한자로 고치는 과정에서
이두 향찰의 우리말 표기법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마을마다 뒤편에 거느리고 있는
시루산(甑山,증산)은 어렵다하여 비단산(繒山,증산)으로 둔갑하여 있고
현재의 은평-마포구에 걸쳐있는 모래내는
모래(가 많은) 내(沙川) <== 몰애내(산의 내)가 원말이었을 가능성이 많고
어떤 지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으면
(남,북)가좌동이라 하는데 가재가 잡히는 고을은 아예 아니고 가생이의 마을,
변두리 동네를 가리킨 말이 맞는듯 합니다.

* 돌과 관련된 道 珍 독 돗 돇의 예
獨島 => 돌섬, 道谷洞 => 독골(구리), 동동네 => 돌마을
* 물과 관련된 무 문 미 매의 예
水踰峴 => 무너미고개, 어을買곶 =>交河 곶, 
彌鄒忽 <ㅡ 미추홀 ㅡ> 買召忽 ==> 인천
* 小와 관련된 잔, 잘, 솔(松), 손의 예
松島 => 작은 섬, 松川 => 작은 내, 잔달이> 잔다리(小野), 잔내울> 尺川
* 大와 간련된 한, 감, 검(炭), 금의 예
감천(甘川) => 큰 내, 대전<한밭, 큰골=한골>황골(黃谷)
* 실물이 없는 뱃골, 싸릿골 등의 예
뱃골 ===> 배(梨)가 없어도 지형, 지물이 배(舟)처럼 생긴 마을
버들골 ==> 버들(柳)가 없어도 형세가 멀리 벋어 있는 마을(*柳京 => 평양)
싸릿고개=> 싸리나무가 없어도 사이를 질러가는 고갯길
닥골 ===> 닥나무가 없어도 산골마을인데, 닭잿골 =>山峴(닥재)의 골짜기
능곡 ===> 陵이 없어도 늘고, 는 형상인 능말=>는 마을, 능재=>는 재로 표현

* 또 지명은 그 지형 지물의 위치와 형상과 여건이 중요 取名요소가 됩니다.
동서남북의 방위와 위 아래 가운데 안 밖의 위치와 주변조건이 그런 것들입니다.
東 : 하늬(바람)  사라, 살, 새ㅡ ** 東津 <== 栗浦, 東萊 <== 荒萊
南 : 마 ( 파람 ) 가라, 갈, 개ㅡ ** 南原 <== 古龍郡, 南山 => 木覓(마뫼)
西 : 새 ( 바람 ) 바라, 발, 배ㅡ ** 西原(淸州로 비정) <= 臂城 <= 子谷
北 : 높 ( 바람 ) 다라, 달, 대ㅡ ** 北原 <==平原, (漢陽의) 北漢山城=>平壤
中 : 한가운데 / 마라, 말, 마 ㅡ** 마립간 <= 중심 위치 역할하는 임금
上 : 위녘 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웃마을
下 : 아래녘 ㅡㅡㅡㅡㅡㅡㅡㅡ ** 아랫마을
前 : 앞산  안산 ㅡㅡㅡㅡㅡㅡ ** 앞마을, 南山 <=앞산
後 : 뒤산  주산 ㅡㅡㅡㅡㅡㅡ ** 뒷마을, 北泉 <=뒷샘 
左 : 왼산  백호 ㅡㅡㅡㅡㅡㅡ ** 왼마을
右 : 오른산 청룡ㅡㅡㅡㅡㅡㅡ ** 오른마을
內 : 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고잔 (古棧) < 곶안, 모란<몰안=몰+안
外 : 밧(밖) ㅡㅡㅡㅡㅡㅡㅡㅡ  ** 화전(花田) < 곶밧
주변 자연 환경 ㅡㅡㅡㅡㅡㅡ  ** 하회(河回) < 물돌이

Comments